특전사령관, 대통령으로부터 ‘두 번째 전화’ 받았다

특전사령관, 대통령으로부터 ‘두 번째 전화’ 받았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12-10 12:25
수정 2024-12-10 1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07특임대 어디쯤” 전화 이어
또 다시 곽종근 사령관에 전화

이미지 확대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 2024.12.10/뉴스1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육군참모총장). 2024.12.10/뉴스1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 출동 작전을 지휘했던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에게 두 차례 전화를 걸었다고 곽 사령관이 밝혔다.

앞서 계엄 당일 윤 대통령으로부터 한 차례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으나 이를 번복한 것이다. 윤 대통령이 국회에 투입된 707특임단의 행로를 확인하는 첫 번째 전화에 이어 또 다시 전화를 걸어 당시 상황을 챙겼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곽 사령관은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현안질의에서 “윤 대통령과의 첫 번째 통화 이후 또 전화를 받은 게 맞느냐”는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네”라고 답했다.

두 번째 받은 전화의 내용을 묻는 박 의원의 질의에 곽 사령관은 “말씀드리기 제한된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

다만 두 번째 전화를 어디에서 받았느냐는 질의에는 “전투통제실에 있었다”고 답했다.

앞서 곽 사령관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곽 사령관은 지난 6일 김병주 민주당 의원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707특임단이 이동할 때 ‘어디쯤 이동하고 있느냐’고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한 번 받았던 기억이 있다”고 밝혔다.

“김용현, 의원 150명 넘으면 안 된다고 지시”곽 사령관은 또 비상계엄 당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국회 본회의장에 국회의원이 150명을 넘으면 안 된다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곽 사령관은 이와 관련한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특전사 전투통제실에서 비화폰을 받으면서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국회의원)이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 내용이 위(국방장관)로부터 내려온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마이크 방송이 켜져 있었던 것 같다”면서 이같은 지시가 예하 부대에 그대로 전파됐고, 국회 본회의장에 진입하는 방법과 공포탄, 테이저건 등을 사용한다는 내용 등이 고스란히 확산됐다고 곽 사령관은 덧붙였다.

공포탄과 테이저건 등을 사용하라는 지시는 자신이 직접 내린 게 아니라 자신 역시 지시받은 것이 그대로 전파된 것이라는 게 곽 사령관의 해명이다.

그러면서 “지시를 받고 현장부대 지휘관과 논의하며 이는 명백히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지난 5일 국방위에 출석해 곽 사령관이 테이저건과 공포탄 사용을 건의했지만 자신이 막았다고 주장했는데, 이를 부인한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