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감 감돈 7분 연설… 천안함 담화와 비교해 보니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오전 10시부터 결기 어린 표정으로 미리 준비한 연설문을 읽어 내려갔다. 150여명의 기자단과 청와대 참모들이 배석했지만, 이 대통령은 평소와 다르게 시종일관 TV 카메라만 뚫어지게 응시했다. 7분간의 짧은 담화 내내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5·24 담화 때와 비교하면 큰 틀에서는 달라진 것이 없었고,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점을 보였다.담화 듣는 해병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한반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29일 오전 인천 옹진군 연평도에서 해병대원들이 이명박 대통령의 담화를 시청하고 있다.
연평도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한반도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29일 오전 인천 옹진군 연평도에서 해병대원들이 이명박 대통령의 담화를 시청하고 있다.
연평도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천안함 사건 담화에서는 북한 선박의 우리 해상교통로 이용 금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방침 등 구체적인 대북 제재 정책이 나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소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내용만 담았다. 연평도 주민을 위한 종합대책 수립을 약속했지만 각론은 없었다.
북한의 과거 만행을 나열한 것은 비슷했다. 천안함 담화에서 아웅산 테러, 대한항공 858기 폭파사건을 예로 들었다면 이번에는 여기에 1·21 청와대 습격사건을 하나 더 넣었다는 게 달라진 정도다. 북한에 대한 응징과 관련한 발언은 표현만 달라졌다. “북한은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5·24 담화)과 “앞으로 북한의 도발에는 반드시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할 것”(11·29 담화)이었다.
다만 “북한 정권도 이제 변해야 한다.”(5·24 담화)는 수준에서 이번에는 “북한 스스로 군사적 모험주의와 핵을 포기하는 것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훨씬 강경해진 점은 주목된다. “군개혁에 속도를 내겠다.”는 천안함 담화와 “국방 개혁은 계획대로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이번 담화 내용은 다른 게 없었다. 담화 말미에 “국가 안보 앞에서 우리는 하나가 돼야 한다.”는 5·24 담화의 결론이나 “하나 된 국민이 최강의 안보”라는 11·29 담화의 최종 메시지는 똑같았다.
형식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5·24 담화 때는 ‘대국민 담화문’이었지만, 11·29 담화는 ‘대통령 담화문’이었다. 발표 장소도 5·24 담화는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이었지만, 이번에는 춘추관(청와대 기자실)이었다. 연설 시간도 5·24 담화 때는 10분이었지만, 이번에는 7분에 그쳤다.
5·24 담화 때 이 대통령은 연설을 마치고 앞줄에 앉아 있던 기자들과 악수를 나눈 뒤 퇴장했지만, 이번에는 연설이 끝나자마자 굳은 얼굴로 뒤도 돌아보지 않고 춘추관을 빠져나갔다. 불편한 심정을 구태여 숨기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담화는 연평도 포격 도발 이틀 뒤인 지난 25일부터 참모진들의 건의로 검토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참모들이 여러 차례 독회를 하면서 문구를 가다듬었고, 29일 아침까지도 제목·부제·핵심문장 등을 고쳤다. 결국 담화 시작 30분 전에야 문구가 최종 확정됐다. 당초 외교안보수석실은 대통령의 뜻을 최대한 진솔하게 전달한다는 차원에서 메시지를 간결화한 7분 정도 분량의 초안을 올렸으나, 연설문 작성을 담당하는 참모들은 감성적 표현으로 살을 붙여 15분가량의 특별담화문 형식을 취하자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 대통령이 막판 고심 끝에 외교안보수석실의 의견을 받아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번에는 길게 부연 설명하기보다는 간단하지만 단호하고 명료하게 대통령의 생각을 국민들에게 전달하는 데 역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민간인에 대한 포격이라는 중대사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이 별도의 질의응답 없이 일방적인 담화만 발표한 것은 문제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0-11-30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