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지난 9월 28일 서울신문 기사입니다.
국방부는 병사 복무기간을 2014년까지 18개월(육군 기준)까지 단축하는 정책을 수정해 21개월로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한나라당 국방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길동 공군회관에서 열린 국방당정회의에서 이같이 보고한 것으로 한 참석자가 전했다. 김 장관은 회의에서 “복무기간을 24개월로 늘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내년 2월 입영자부터 적용되는 21개월에서 복무기간 단축을 동결하는 쪽으로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이 참석자는 설명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육군 복무기간은 21개월, 해군과 공군은 각각 23개월과 24개월이 된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병 복무기간을 21개월로 유지하는 방안에 대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24개월이나 22개월, 20개월로 할 수도 있고 18개월로 줄이는 시점을 20년 뒤로 늘릴 수도 있다.”며 “오늘 열린 국방당정에서도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국방부는 병사 복무기간을 2014년까지 18개월(육군 기준)까지 단축하는 정책을 수정해 21개월로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한나라당 국방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길동 공군회관에서 열린 국방당정회의에서 이같이 보고한 것으로 한 참석자가 전했다. 김 장관은 회의에서 “복무기간을 24개월로 늘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내년 2월 입영자부터 적용되는 21개월에서 복무기간 단축을 동결하는 쪽으로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이 참석자는 설명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육군 복무기간은 21개월, 해군과 공군은 각각 23개월과 24개월이 된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병 복무기간을 21개월로 유지하는 방안에 대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24개월이나 22개월, 20개월로 할 수도 있고 18개월로 줄이는 시점을 20년 뒤로 늘릴 수도 있다.”며 “오늘 열린 국방당정에서도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