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장교 출신 첫 장군이 탄생했다. 16일 군 장성 인사에서 준장 승진 예정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정현석(51) 대령이 주인공이다. 1983년 함께 임관한 육군사관학교 39기 동기생들이 2008년 첫 장성을 배출한 것보다는 2년 늦은 승진이지만 학사3기 출신으로 선배들이 오르지 못한 ‘처녀지’를 개척해 냈다.
이미지 확대
준장 승진 예정자 정현석대령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준장 승진 예정자 정현석대령
군은 정 대령의 장성 승진을 두고 “철저한 능력주의 평가가 반영된 결과”라고 논평했다. 현재 보직인 육군 개혁실 제도개혁과장직에 대한 전문성, 야전 경험 등이 충분히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정 대령의 한 후배 장교는 “업무지침이 꼼꼼하면서도 아랫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 스타일”이라면서 “권위의식 없이 본인 먼저 솔선수범하는 자세 때문에 신망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타 군 출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인 학사장교 출신으로 첫 장성 진급의 영예를 안은 만큼 부끄럽지 않은 선배가 되지 않도록 조국과 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육사 출신보다 다소 늦은 승진에 대해선 “군 생활과 능력에 따른 평가이자 학사장교에 대한 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본다.”며 겸손함을 보이기도 했다.
정 준장은 전남 광양 출신으로 순천고와 원광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학사3기로 임관했다. 8사단 수색소대장, 35사단 105연대 대대장, 육본 인사참모부진급자료관리과장, 23사단 58연대장을 역임했으며, 육군개혁실 제도개혁과장을 지냈다. 부인 추관순(47)씨와 1남1녀를 뒀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0-12-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