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161번째로 남·북 동시가입 2001년 의장국·2006년 반총장 배출
‘1991년 남북 유엔 동시 가입부터 2011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연임까지.’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15일 “오랫동안 유엔 가입을 염원해 왔다가 뒤늦게 합류한 만큼 더욱 열심히 유엔 활동에 참여했고, 짧은 기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자부한다.”며 “유엔 가입을 계기로 한반도를 넘어 범세계적 문제들로 관심과 활동 범위를 넓힘으로써 ‘글로벌 코리아’ 도약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대유엔 외교는 5년마다 굵직한 획을 그었다. 가입 5년 만인 1996년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에 진출했고, 2001년에는 유엔총회 의장국을 맡았다. 2006년에는 반기문 사무총장을 배출했으며, 올해 반 총장이 연임하는 데 성공했다. 이와 함께 2013~2014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재진출을 추진 중이다.
유엔 내 우리나라의 활약상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유엔 정규예산 분담금은 11위 수준이고, 평화유지활동(PKO) 예산 분담금도 10위에 이를 정도로 유엔 재정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유엔 안보리를 상대로 북핵 등 북한 문제에 대한 활동도 강화되고 있으며 사무총장을 비롯, 유엔에 진출한 한국인들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분담금 규모에 맞게 PKO 파병 및 유엔 등 국제기구에 진출하는 한국인이 더 늘어나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유엔 본부에 진출한 한국인 직원은 현재 116명으로, 192개국 중 72위에 머물러 있다.”면서 “분담금 규모 등을 고려할 때 국제기구 초급전문가(JPO) 등을 확대하고 고위급 진출도 더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대유엔 외교 강화를 위해 4가지 사항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와 개발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2015년까지 공적개발원조(ODA)를 3억 달러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는 국민총소득(GNI)의 0.25% 수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에 걸맞은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유엔의 평화·안보활동 참여를 늘리고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민간 분야의 협력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9-1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