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전략미사일 2종 공개
국방부가 19일 국방과학연구소(ADD)가 독자 개발한 탄도미사일 ‘현무2’와 순항미사일 ‘현무3’으로 추정되는 발사 동영상을 이례적으로 공개함으로써 그 위력과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브리핑에서 군은 국산 미사일 전력이 북한 미사일에 비해 정밀도와 타격 능력에서 휠씬 우수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국방부가 공개한 동영상에 따르면 국산 탄도미사일 현무2는 수직으로 발사된 후 공중에서 이동하다 목표지역 상공에서 여러 개의 자탄(子彈)으로 분리됐다. 분리된 자탄은 큰 원형으로 이뤄진 목표 지점에 동시다발적으로 낙하해 타격했다. 군 관계자는 “보안상 밝힐 수 없으나 축구장 수십 개에 해당하는 면적을 초토화시킬 수 있고 미국에서 도입한 에이태킴스(ATACMS) 미사일보다 살상력이 높다.”고 설명했다. 에이태킴스 미사일은 축구장 4개 면적인 2만 5000㎡지역의 인명을 살상할 수 있는 가공할 무기다.
이어 공개한 순항미사일 현무3는 발사된 뒤 비행을 거쳐 목표물인 건물의 측면과 지붕을 정밀 타격했다. 앞서 현무2가 탄도미사일로 광범위한 지역의 타격을 통해 살상력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면 현무3은 외과 수술과 같이 목표한 부분을 오차 없이 맞추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사거리 1000㎞의 ‘현무3’은 미국의 토마호크형 순항미사일와 비슷한 직경 52㎝에 길이는 6.25m로 타격 오차범위 1~2m를 자랑한다. 군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이남에서 발사하더라도 평양 노동당사에 있는 김정은 노동당 1비서의 집무실 창문도 겨냥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군이 사거리 1000㎞ 이상의 ‘현무3’을 개발하게 된 것은 순항미사일과 탄도미사일의 특성 차이에서도 기인한다. 순항미사일은 비행기처럼 양력을 이용해 관성항법장치 등으로 정해진 목표를 향해 비행하는 추진체다. 반면 탄도미사일은 상승한 후 높은 포물선 궤도를 따라 탑재체를 목표에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타격하며 대량살상무기 등을 실어 상대국가에 심리적 압박을 줄 수 있어 미국은 전 세계적 확산을 경계해왔다.
정부는 2001년 개정한 미국과의 미사일지침에 따라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를 300㎞ 이내로 제한했다. 이후 이 지침의 제약을 받지 않는 순항미사일 개발에 주력했으며 2008년부터 사거리 500㎞ 이상의 현무3 계열 미사일을 전력화해 1000㎞ 이상까지 꾸준히 사거리를 개량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순항미사일이 고도 100m 상공을 저공비행함으로써 적군의 요격 미사일에 노출되기 쉽다는 점과 탄도미사일처럼 넓은 반경의 살상 범위를 갖추지 못한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2012-04-2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