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년만의 귀향] 중공군 뚫고 혹한 속 철수… 한·미군 7200여명 사상·실종

[65년만의 귀향] 중공군 뚫고 혹한 속 철수… 한·미군 7200여명 사상·실종

입력 2012-05-26 00:00
수정 2012-05-26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역사상 가장 고전했던 장진호 전투

25일 유해가 돼 고국으로 돌아온 국군들이 참가했던 장진호(長津湖) 전투는 1950년 11월 27일부터 12월 11일까지 15일 동안 벌어진 전투로, 6·25전쟁 중 혹한에서 가장 치열하게 벌어졌던 역사적 전투로 기록돼 있다.

1950년 겨울 북진 중이던 유엔군이 예기치 못한 중공군의 개입으로 동부전선에서 큰 피해를 입었고, 이를 지원하던 미 제1해병사단이 함경남도 개마고원 장진호 계곡을 따라 전진했다. 그러던 중 장진호 북방에서 8개 사단 규모의 중공군에 포위돼 공격을 받게 됐고, 혹한 속에 생사가 달린 철수작전이 시작됐다. 당시 포위된 지역은 높이 2000m 이상 높은 산들이 남북으로 뻗어 산맥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미 해병과 미 육군 병력 일부는 보름에 걸쳐 협곡지대를 돌파해 철수에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미군과 국군은 7200여명이 사상·실종됐으며, 절반 이상은 동상으로 숨졌다. 전투 당시 미 뉴스위크지는 장진호 전투를 ‘진주만 피습 이후 미군 역사상 최악의 패전’이라고 혹평했으며, 미군의 전사에는 ‘역사상 가장 고전했던 전투’로 기록됐다. 그러나 철수작전 성공으로 청천강 일대에서 수세에 몰렸던 미 제8군의 철수가 가능해졌다. 특히 흥남 철수로 군인 10만명, 민간인 10만명 등 20만명이 남쪽으로 탈출했고, 중공군 7개 사단도 타격을 입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2-05-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