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전 도발 상황 아니다 판단

연합뉴스
김관진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연합뉴스
하지만 국지도발의 가능성은 높게 내다봤다. 김 장관은 “다만 북한의 체제 특성상 국지 도발할 가능성은 있다”면서 “연평도 포격과 같은 서북도서나 내륙에서의 도발, 사이버 도발과 공격주체가 불분명한 것 등의 국지도발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이에 맞서 한미의 정보감시자산 등 고도의 감시태세와 경계대비태세를 한 단계 높였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서는 “풍계리 두 개(서쪽, 남쪽) 갱도 모두 핵실험 준비가 끝난 것으로 파악했다”면서 “서북쪽 갱도가 폭발 이후에 남쪽 갱도에서도 몇 가지 행동은 관측되고 있지만, 어느 정도 수준인지 조금 더 분석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북핵의 소형화 가능성에 대한 정보는 없다면서도 “북한의 핵 공격이 어떤 방법, 유형으로 올지 모르지만 만일 공격 징후가 있다면 확인하는 순간 당연히 선제타격은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국지도발의 경우 북한의 김일성·김정일의 동상을 타격할 것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동상 타격 계획은 없으며, 언론이 앞서 보도한 데 대해 자중할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또 동해 쪽으로 이동한 북한 미사일에 대해 “북한의 신형 장거리미사일인 KN08은 아니다”면서 “상당한 거리를 나갈 수 있는 미사일이지만 사거리가 미국 본토까지 가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04-0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