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남북통일 공식 거론… 통일대박론에 호응

시진핑, 남북통일 공식 거론… 통일대박론에 호응

입력 2014-03-25 00:00
수정 2014-03-25 0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중 정상회담 분석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4일(한국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의 만남을 ‘안중근 기념관’ 얘기로 시작했다. 시 주석이 먼저 “하얼빈에 안중근 의사 기념관을 건립할 것을 직접 지시했다. 양국 국민들의 감정을 강화하는 등 중요한 유대가 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박 대통령이 중국 시안에 있는 광복군 주둔지에 기념 표지석 설치를 희망해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조만간 준공돼 제막할 것”이라며 “한국 국민이 많이 와서 봐 줄 것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이에 “크게 감사하고 중국군 유해 400여구가 정확히 오는 28일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된 것도 뜻깊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 등을 둘러싼 대화는 한·중 양국이 25일 열릴 한·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을 압박하는 취지로도 분석된다.

시 주석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통일 실현을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제시했다. 중국의 일관된 대한반도 기조이긴 하지만, 박 대통령과의 네 차례 회담에서 남북 통일을 공식 거론해 더욱 의미있게 받아들여졌다. 박 대통령은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장외에서 중국을 향해 ‘목소리’를 냈다. 박 대통령은 네덜란드 NO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측이 북한에 대한 유엔의 인권 관련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이에 실망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중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면 북한 인권 부분에 있어 더 임팩트가 강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답한 것이다.

헤이그(네덜란드)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03-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