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하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인 전문직 비자 쿼터 신설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워싱턴 고위 소식통은 29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교류 확대 방안이 심도 있게 협의될 것”이라며 “특히 한국인에 대한 전문직 비자 쿼터 신설법 추진이 중요한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전문직 인력 교류 강화를 위한 방안을 협의해 왔으며 한국 정부는 미국의 이민개혁법안 제정 움직임에 맞춰 한국인 전문직의 미국 진출 방안 확대를 추진해 왔다. 특히 지난해 4월 피터 로스캄(공화) 하원의원 등 의원 8명이 한국인을 위한 전문직 비자 쿼터를 연간 1만 5000개 신설하는 내용의 ‘한국인 전문직 비자 법안’(HR1812)을 별도로 제출한 뒤 지지를 호소해 왔으나 이민개혁법 추진이 민주당과 공화당의 대립 속에 지지부진하면서 한국인 전문직 비자 법안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한·미 양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전문직 인력 교류 강화를 위한 방안을 협의해 왔으며 한국 정부는 미국의 이민개혁법안 제정 움직임에 맞춰 한국인 전문직의 미국 진출 방안 확대를 추진해 왔다. 특히 지난해 4월 피터 로스캄(공화) 하원의원 등 의원 8명이 한국인을 위한 전문직 비자 쿼터를 연간 1만 5000개 신설하는 내용의 ‘한국인 전문직 비자 법안’(HR1812)을 별도로 제출한 뒤 지지를 호소해 왔으나 이민개혁법 추진이 민주당과 공화당의 대립 속에 지지부진하면서 한국인 전문직 비자 법안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03-3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