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합동참모회의서 전력화 결정할 듯…”전력공백 방지 목적”선체고정음탐기·수중무인탐사기 기준 미달…전력화 부적절 지적도
군 당국이 납품비리 의혹이 제기된 차기수상함구조함(ATS-Ⅱ) 통영함(3천500t)의 조기 전력화를 추진키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군의 한 관계자는 24일 “통영함은 현 수상함구조함의 노후도태에 따른 전력공백 방지 등을 고려해 우선 전력화가 필요하다”며 “이에 따라 합동참모본부는 함정을 우선 전력화하고 성능을 충족하지 못하는 선체고정음탐기(HMS)와 수중무인탐사기(ROV)는 성능을 충족하는 장비로 추후 장착하는 안건을 오는 28일 합동참모회의에 상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수상함구조함은 고장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좌초된 함정을 구조하거나 침몰한 함정과 항공기 등을 탐색, 인양, 예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현재 해군이 운용하는 수상함구조함 중 1968년에 건조된 광양함과 1972년에 건조된 평택함은 수명주기(30년)를 각각 16년, 12년 초과한 노후 함정이다.
오는 28일 합동참모회의에서 통영함 조기 전력화가 결정되면 해군은 이 함정을 인수해 운용하면서 작전요구성능(ROC)을 충족하지 못하는 선체고정음탐기와 수중무인탐사기를 향후 2년 동안 개선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군 관계자는 “광양함을 대체하는 통영함은 지금도 구조함의 기본임무인 예인, 인양, 잠수지원 등을 수행할 수 있다”며 “최대속력은 21노트(시속 약 40㎞)로 광양함의 2.5배에 달하고 인양능력은 300t으로 광양함의 2배이며, 헬기도 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통영함의 항해에 필요한 레이더와 항법장비, 인양에 필요한 크레인, 예인에 필요한 유압권양기, 잠수지원에 필요한 공기압축기와 감압·치료용챔버 등은 모두 정상이어서 임무 수행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 군 당국의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납품비리 의혹이 제기된 선체고정음탐기 부실 문제에 대해서는 “수중탐색은 통영함이 보유한 사이드 스캔 소나(음파탐지기)를 활용하고, 소해함 등 다른 함정과 협동작전을 통해 제한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영함의 수중무인탐사기 부실에 대해서는 “기뢰탐색함과 소해함이 보유한 음탐기를 이용해 수중물체를 탐색한 후 무인기뢰처리기(MDV)로 수중물체를 정밀 식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각에선 성능이 떨어진 장비를 개선하지 않은 채 해군에 통영함을 인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통영함을 둘러싼 방산비리 의혹이 불거진 상황에서 통영함을 조기에 인도해 방위사업청과 해군 모두 잡음을 봉합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방사청은 통영함에 선체고정음탐기로 상용 어군탐지기(SH-90)를 장착한 상태로 전력화를 추진하려다가 논란이 되자 상용 어군탐지기는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선체고정음탐기 제거에는 20여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지난 10월 31일 합동참모회의를 앞두고도 통영함 조기 전력화를 추진하다가 비난 여론에 밀려 전력화 결정을 보류한 바 있어 이번에도 합동참모회의 안건 상정이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방사청의 한 관계자는 “(납품비리 의혹은) 추후 감사원 감사결과와 검찰 수사결과에 따라 확인될 것”이라며 “현재는 노후 구조함의 도태가 불가피해 통영함을 전력화하지 않으면 구조 전력의 공백이 장기간 발생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유영식 해군 정훈공보실장은 “통영함은 국가 해상안전태세 유지 차원에서도 구조전력으로서 군사작전 외 비군사작전에서도 역할을 해야 한다”며 “해군은 전력화 시기가 다가왔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