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서 3국 첫 외무차관 회담
한국과 미국, 일본은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처음으로 3국 외무차관 회의를 열고 북핵 문제 등의 공조 강화에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나 일본군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이견은 좁히지 못했다.
워싱턴 연합뉴스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일 외무차관 협의회 직후 조태용(오른쪽) 외교부 제1차관과 토니 블링컨(가운데) 미 국무부 부장관, 사이키 아키타카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 연합뉴스
워싱턴 연합뉴스
●日 “역사 직시… 한·일 더 나은 관계로 발전”
조태용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 사이키 아키타카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회의를 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과거사 문제에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면서 북한 문제를 비롯한 여러 다른 분야에서는 협력을 증대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등 역사 문제는 단호하게 대응하되 북핵 등 안보 및 경제 협력은 유지하는 이른바 ‘투 트랙’ 접근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사이키 차관은 “일본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라며 “우리도 역사를 정면으로 직시하고 있으며 아베 신조 총리가 공개적으로 과거사 문제에 대한 견해를 표명해 왔다”고 주장했다. 사이키 차관은 “한·일은 지난 50년간 매우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 왔으며 이를 더 나은 관계로 발전시켜 나갈 책임이 있다”면서도 “아베 총리가 미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어떤 언급을 내놓을지는 연설문 초안을 보지 못해 모르겠다”고 답변을 피했다.
이날 첫 3자 차관회의를 주도한 블링컨 부장관은 ‘미국이 한·일 관계를 중재하는 것이냐’는 서울신문의 질의에 “한·일 양국이 직면한 공통 목표와 도전과제가 현존하는 갈등을 압도할 것임은 분명하다”면서도 “미국은 한·일 양국 사이를 중재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 개선을) 독려하는 것”이라며 미국의 중재 역할을 부인했다.
회의에 참석한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특파원 간담회에서 “일본이 위안부 등 역사 문제에 올바른 자세를 갖지 않을 경우 다른 문제에 대한 협력에 어려움이 생길 수 밖에 없다는 점을 단호하게 밝혔다”며 “특히 아베 총리가 방미 때 올바른 역사 인식을 담은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본은 물론 미국 측도 이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밝혀, 이견을 좁히지 못했음을 시사했다.
●韓 “아베 방미때 올바른 역사 표명 중요”
이 당국자는 그러나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이란 핵협상이 고비를 넘겼고 미 의회에서도 진전되고 있는 만큼 북한도 이를 주시하고 있을 것이며, 앞으로 북핵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룰 기회가 생기지 않겠느냐는 의견 교환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이날 회의에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예고 없이 방문해 환담을 했고 이 자리에서 이란 핵협상 등 중동 문제를 중심으로 한·미·일 3자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4-1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