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대북 이동식 확성기 투입… 北, 朴대통령 과녁 사격 공개

軍, 대북 이동식 확성기 투입… 北, 朴대통령 과녁 사격 공개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5-08-13 23:32
수정 2015-08-14 03: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北 DMZ 지뢰 도발’ 긴장 고조

군 당국이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에 대응해 허를 찌르는 대북 심리전을 전개할 이동식 확성기를 투입했다. DMZ 지뢰 매설에 대해서 침묵을 지키던 북한은 박근혜 대통령의 사진으로 만든 과녁에 실탄 사격을 하는 모습을 처음으로 공개하는 등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북한 조선중앙TV가 12일 방영한 ‘조선 인민군 군인들 신천박물관 참관·복수 결의모임’ 영상 속의 실탄 사격장에 박근혜 대통령 얼굴 사진이 붙은 과녁이 등장했다. 정중앙의 박 대통령 사진을 제외하고 양옆의 두 명은 우리 정부의 핵심 인사들로 추정되나 누구인지 식별하기 어렵다.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TV가 12일 방영한 ‘조선 인민군 군인들 신천박물관 참관·복수 결의모임’ 영상 속의 실탄 사격장에 박근혜 대통령 얼굴 사진이 붙은 과녁이 등장했다. 정중앙의 박 대통령 사진을 제외하고 양옆의 두 명은 우리 정부의 핵심 인사들로 추정되나 누구인지 식별하기 어렵다.
연합뉴스
군 관계자는 13일 “대북 확성기 방송을 할 때 확성기를 장착한 차량 2대도 투입할 예정”이라면서 “지난해 도입한 이 이동식 확성기는 음향 출력이 휠씬 뛰어난 신형”이라고 밝혔다.

군 당국이 전방 11곳에서 운용 중인 고정식 확성기는 48개의 대형 스피커를 통해 10여㎞ 떨어진 곳에 음향을 보낼 수 있다. 반면 신형 이동식 확성기의 음향은 20㎞ 이상 떨어진 곳까지 도달할 수 있고 북한군이 예측하지 못한 곳에서 기습적으로 방송을 해 조준 사격을 피할 가능성이 높다. 군은 기존 고정식 확성기도 조준 사격을 회피하기 위해 북한군이 관측할 수 없는 장소에 새로 옮겨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확성기 방송뿐 아니라 10㎞ 떨어진 곳에서도 볼 수 있는 대형 전광판을 다시 설치해 가동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방부는 또한 크리스틴 워머스 미국 국방부 정책 차관이 14일 한민구 국방부 장관을 예방해 DMZ 지뢰 도발 사건에 대한 공조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DMZ 지뢰 매설 책임 소재에 대해 입을 닫은 북한은 조선중앙TV가 12일 오후 방영한 영상을 통해 박 대통령의 사진이 붙어 있는 과녁에 군인들이 사격하는 장면을 공개했다. 과녁 뒤로는 ‘미제 소멸’이라는 하얀 글씨가 새겨져 있다. 북한이 박 대통령을 거칠게 비난한 적은 많지만, 사진을 과녁으로 쓴 장면을 공개한 것은 적개심이 최고조에 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2012년에도 이명박 당시 대통령의 실명 표적지를 만들어 사격연습하는 장면을 공개한 바 있다.

통일부는 이에 대해 입장자료를 통해 “같은 민족으로서 최소한의 도리와 예의도 저버리고 증오심을 부추기는 행동”이라면서 “북한의 비이성적 행태를 강하게 규탄한다”고 밝혔다.

북한은 또한 17일로 예정된 한·미 연합 ‘을지프리덤가디언’(UFG) 군사연습을 취소할 것을 촉구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미국이 조선반도와 주변에서 끊임없이 벌여 놓고 있는 합동군사연습은 우리 공화국에 대한 엄중한 군사적 도발”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윤희 합참의장이 북한의 DMZ 지뢰 도발 사건이 일어난 하루 뒤인 5일 저녁 부하 직원들과 술이 포함된 회식을 한 사실이 드러나 부적절한 처사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합참 공보실의 건의로 3~4주 전부터 계획된 직원 격려 차원의 회식”이라면서 “최 의장은 맥주 2~3잔을 마셨을 뿐 취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5-08-1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