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북한이 대북 확성기 철거를 요구한 시한인 22일 남북 고위당국자접촉이 열린 가운데 대북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Watch Condition)을 ‘3’에서 ‘2’로 한 단계 격상하며 북한군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했다.
군 관계자는 이날 “군은 북한군의 포격 도발 사건이 발생한 지난 20일 발령한 최고경계태세를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라면서 “북한군은 남북 간 대화 중에도 도발을 해 올 수 있기 때문에 군은 만반의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워치콘 2’는 북한의 도발 위협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판단할 때 취해지는 단계로, 첩보위성과 정찰기, 지상 정찰장비 등을 총동원해 대북 정보 분석과 감시활동을 강화하게 된다.
5단계로 발령되는 워치콘은 평시에는 ‘4’를 유지하다가, 상황이 긴박해지면 점차 3, 2, 1로 단계가 올라간다. 군은 평시 상태은 ‘4로’ 워치콘을 유지하다가, 목함지뢰 도발 사건 이후 ‘3’으로 격상한 후 이번엔 ‘2’로 올린 것이다.
군은 남북 접촉 결과와 관계없이 당분간 최고 경계태세를 유지하면서 대북 확성기 방송도 계속 진행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난 4일 발생한 북한군의 지뢰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라면서 “북측이 책임 있는 조치를 하지 않는 한 방송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도 21일 대국민 담화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뢰 도발에 따른 우리의 응당한 조치”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미경 기자 btfseoul@seoul.co.kr
군 관계자는 이날 “군은 북한군의 포격 도발 사건이 발생한 지난 20일 발령한 최고경계태세를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라면서 “북한군은 남북 간 대화 중에도 도발을 해 올 수 있기 때문에 군은 만반의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워치콘 2’는 북한의 도발 위협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판단할 때 취해지는 단계로, 첩보위성과 정찰기, 지상 정찰장비 등을 총동원해 대북 정보 분석과 감시활동을 강화하게 된다.
5단계로 발령되는 워치콘은 평시에는 ‘4’를 유지하다가, 상황이 긴박해지면 점차 3, 2, 1로 단계가 올라간다. 군은 평시 상태은 ‘4로’ 워치콘을 유지하다가, 목함지뢰 도발 사건 이후 ‘3’으로 격상한 후 이번엔 ‘2’로 올린 것이다.
군은 남북 접촉 결과와 관계없이 당분간 최고 경계태세를 유지하면서 대북 확성기 방송도 계속 진행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난 4일 발생한 북한군의 지뢰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라면서 “북측이 책임 있는 조치를 하지 않는 한 방송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도 21일 대국민 담화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뢰 도발에 따른 우리의 응당한 조치”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미경 기자 btf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