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공군전투기 8대 1시간 편대 비행…미군 210 화력 여단도 대응 포격 준비
한국과 미국은 북한의 포격 도발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지난 20일부터 남북이 대화 테이블에 앉게 된 22일 이후까지 대북 무력 시위의 수위를 조절하며 찰떡 공조를 과시했다.
공군 제공
무력시위
한·미 연합 공군편대가 지난 22일 한반도 남측 상공에서 대북 무력시위 기동을 벌이고 있다. 편대비행에는 미 7공군 소속 F16 전투기 4대와 한국 공군 F15K 전투기 4대 등 2개 편대가 참여했다.
공군 제공
공군 제공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북쪽 향해
남북 2차 고위급 접촉이 재개된 23일 경기 연천군에 위치한 국군 다연장로켓포 부대가 북쪽을 향해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한·미 양국은 22일 낮 12시 북한이 대북심리전의 최후통첩 시한으로 제시한 오후 5시를 불과 5시간 앞두고 한국 공군 F15K 4대와 미 7공군 F16 4대 등 8대의 전투기를 동원해 대북 무력시위에 나섰다. 한·미 전투기 8대는 이날 강원도 동해 해상에서 서로 만나 경북 예천 북쪽에서 서쪽의 경기 오산까지 1시간여 동안 편대 비행을 실시했다. 공군력이 열세인 북한으로서는 레이더에 촉각을 세우고 긴장할 사안이다.
한·미 군 당국은 21일 북한이 준전시 상태를 선포함에 따라 다연장로켓(MLRS) 수십문을 보유한 주한미군 210 화력 여단도 북한의 포격 도발에 맞서 대응 포격을 실시할 준비를 하는 등 연합 공조체제를 가동했다.
북한은 1968년 미군 정보함인 푸에블로호 나포 사건을 시작으로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이번 포격 도발 사건 등 여덟 차례 준전시 상태를 선포했다. 미국이 과거 북한이 준전시 상태를 선포할 때 항공모함과 전략폭격기 등을 대거 전개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긴장시킬 적절한 수준의 무력시위을 전개하되 북한 위협에 덩달아 부화뇌동하지는 않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실제로 군 안팎에서는 22일 오전까지 미국이 더 위협적인 전략 자산을 투입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같은 날 오후부터 시작된 남북 고위급 접촉 등 대화 기류를 염두에 두고 추가 대응을 자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은 22일 최윤희 합참의장과의 전화통화에서 “미국은 한반도 유사시 대한민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모든 지원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5-08-2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