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출신 강골’ 김관진 靑안보실장
남북한이 나흘간에 걸친 고위급 접촉에서 25일 새벽 극적으로 합의안을 도출함에 따라 이번 협상에서 남측 수석대표로 나선 김관진(66)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뚝심과 노익장이 돋보였다는 평가다.
연합뉴스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5일 무박 4일간 진행된 남북 고위급 접촉을 마치고 경기 파주시 통일대교를 통해 임진강을 건너오고 있다. 김 실장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통일부에 따르면 김 실장은 황병서 북한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를 상대로 연평도 포격 등 과거 북한의 도발까지 거론하며 북측의 책임을 추궁했다. 북측은 “(지뢰 사건에 대해) 잘 모르는 일이고, 과거보다 앞으로가 중요하다”며 얼버무리려는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김 실장은 “한 달도 안 된 일이 어떻게 과거가 될 수 있나. 나는 전군을 지휘했던 사람”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도 김 실장이 자신감을 갖고 협상을 이끌 수 있었던 배경이다. 김 실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0년 12월 국방부 장관에 발탁된 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에도 자리를 지키며 총 3년 6개월간 장관으로 재임했다. 그는 지난해 6월 국가 안보의 ‘컨트롤타워’인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 임명되면서 박 대통령의 신임을 재확인했다. 김 실장은 눈빛이 레이저와 같이 강렬해 장관 재임 시절 ‘레이저 김’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특히 박 대통령이 지난 21일 강조한 북한 도발 시 ‘선(先)조치 후(後)보고’ 원칙은 김 실장이 장관 재임 시절 평소 강조했던 지론이다. 이처럼 강경파로 비쳐지는 그를 북한은 싫어한다. 그러면서도 북측은 현 정부 안보 라인에서 그의 위상을 알기에 이번에도 김 실장을 협상 파트너로 지목했다.
김 실장은 협상을 타결 지은 뒤 언론에 “이번 협상의 목적은 북한의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을 받아내는 것이었다”면서 “이 과정에서 협상이 대단히 길어졌고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아 시간이 좀 오래 걸렸던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5-08-2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