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개선 의지… 위안부 문제 실질적인 진전 압박

박 대통령은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강연회 후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질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한·중·일 정상회의는 동북아 평화와 안정은 물론 한·일 관계 개선에도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취임 후 한번도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나 같은 달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올 3월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의 장례식에서 환담 수준의 만남을 가진 바 있다.
박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아베 총리와의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화한 것은 올해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기존 경색관계를 벗어나 미래지향적으로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특히 중국의 부상 속에 일본이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일부에서는 한국의 외교적 고립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더이상 과거사를 매개로 일본과 불편한 관계를 지속하는 것이 국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위한 폭넓은 의견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즉 정상회담을 계기로 관계 개선의 전기를 마련해 추가적인 양자 정상회담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걸림돌이 없는 것은 아니다. 9차례에 걸친 위안부 협의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자칫 위안부 문제의 진전 없이 정상회담만 개최할 경우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5-10-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