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가미’의 나라 일본서 한국 종이접기 잔치 연다

‘오리가미’의 나라 일본서 한국 종이접기 잔치 연다

입력 2015-11-23 08:19
수정 2015-11-23 08: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8∼30일 동경한국학교서 종이문화재단 전시·세미나·특강

종이접기의 종주국을 자처하는 일본에서 한국식 종이접기를 알리는 잔치가 열린다.

종이문화재단·세계종이접기연합(이사장 노영혜)은 일본 동경한국학교(교장 김득영)와 함께 28일부터 3일간 동경한국학교에서 한반도 평화통일과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종이접기 축제 한마당을 개최한다.

한국 전통문화에 뿌리를 둔 종이접기를 현대화하는 데 힘써온 종이문화재단은 해마다 미국, 러시아, 몽골, 필리핀 등지에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종이접기 전시회와 강사 양성교실 등을 열어 ‘K-종이접기(Jongie Jupgi)’의 세계화를 추진하고 있다.

종이문화재단이 일본에서 종이접기 축제를 마련해 종이접기 전시회, 종이접기 강사 세미나, 어린이 종이접기 마스터 양성교실, 종이접기 작품대회, ‘고깔 쓰기와 종이비행기 날리기’ 등을 펼치는 것은 처음이다.

전 세계적으로 종이접기가 ‘오리가미’(折紙·Origami)라는 일본어로 통용되고 있는 현실에서 오리가미의 본고장인 일본 도쿄에서 종이접기 한류의 상륙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번 행사에는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기념해 ‘한일 종이접기 예술작품 전시회’와 ‘한일 국제교류 종이접기 작품대회’도 열릴 예정이어서 양국 종이접기 관계자와 애호가들이 교류하는 기회도 마련된다.

한일 종이접기 예술작품 전시회에는 종이문화재단 지도강사들과 일본의 종이접기 작가들이 출품한 작품 50점이 선보인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출연해 ‘공감과 소통과 추억의 종이접기’ 열풍을 불러일으킨 KBS2 ‘TV 유치원 하나 둘 셋’의 ‘종이접기 아저씨’ 김영만 종이문화재단 평생교육원장도 특강에 나선다.

노영혜 종이문화재단 이사장과 김영만 원장을 비롯해 세계종이접기연합 소속 강사들이 참여해 동경한국학교 초·중등 교사 및 현지 한글학교 교사 70명과 학생 50명 등을 교육할 예정이다.

30일 오후 8시 동경한국학교 강당에서는 세미나·양성교실 참가자와 가족, 양국 초청 인사 등이 모두 모인 가운데 한반도 평화통일과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고깔 쓰기와 소망의 종이비행기 날리기 행사가 펼쳐진다.

이어 대한민국 종이접기 강사 자격증 및 어린이 종이접기 마스터 급수증 수여식과 한일 국제교류 종이접기 작품대회 시상식이 진행된다.

노 이사장은 “우리나라 종이접기의 역사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도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을 거치며 명맥이 끊기다시피 한 반면 일본은 정부와 국민의 공동 노력으로 ‘오리가미’의 세계 보급에 성공했다”면서 “우리가 일본과 종이접기 원조 경쟁을 펼치는 것처럼 비치는 것은 곤란하지만 태권도가 세계인의 스포츠로 우뚝 섰듯이 국내외 동포들이 힘을 모으면 종이접기를 새로운 한류로 재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쿄 종이접기 축제 한마당은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연합뉴스, 주일대사관, 동경한국교육원, 해외동포책보내기운동협의회, H2O품앗이운동본부, 재일본대한민국부인회 동경지방본부, 재일본한국인연합회,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동경지방본부, 재일본한글학교협의회가 후원한다.

교육과 이벤트 등에 쓰이는 종이접기 교재와 재료 등은 종이나라(대표 정도헌)가 협찬한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