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 “콧수염 미니 시원하네요”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 “콧수염 미니 시원하네요”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7-25 11:31
수정 2020-07-25 1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트위터 캡처
트위터 캡처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트레이드마크와도 같은 콧수염을 잘랐다.

주일 미군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나 국내에서 콧수염 때문에 원치 않는 주목을 받아 온 해리스 대사는 25일 트위터에 서울 종로구의 한 이발소를 방문한 동영상을 올렸다. 대사 선임고문인 숀 김과 동행하며 마스크를 쓰고 있던 그는 “마스크가 저를 덥게 만들고 물론 제 콧수염도 그렇다”면서 이발소로 들어간다. 이발소 사장은 “미국은 우리 한국에 참 고마운 나라”라며 해리스 대사를 팔꿈치 인사로 맞이한 뒤 콧수염 등 얼굴 전체를 면도한다.

2분 47초 분량의 동영상에는 한글 자막이 달려 있는데 나름 예능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한 듯 재미있게 표현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다. 이발소 의자가 뒤로 젖혀질 때 대사가 ‘이게 뭐지’ 하는 표정을 짓는 것도 재미있고, 이발소 사장이 뜨거운 수건을 목 부위 등에 덮거나 날카로운 면도날을 갖다 댈 때마다 바짝 얼어붙는 듯한 표정도 고스란히 묻어난다. 우리 문화를 체험하는 느낌도 짙다.

해리스 대사는 트위터에 올린 글을 통해 면도하기로 한 것이 “잘한 결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콧수염을 기르고 마스크까지 착용하기에 서울의 여름은 매우 덥고 습하다”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 지침이 중요하니 마스크는 필수죠”라며 “(이발소의) 오 사장님을 뵙게 되어 반가웠고 한미동맹을 중요하게 생각해주셔서 매우 감사했다”고 적었다.

일각에서는 그가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나 남북협력 등 한국과 미국 사이 이견이 드러날 때마다 미국 입장을 강하게 대변하는 그의 콧수염이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들의 콧수염을 연상시킨다고 했다. 한 시민단체는 규탄대회를 열어 해리스 대사 얼굴 사진에서 콧수염을 뽑는 퍼포먼스를 하기도 했다. 해리스 대사와 미국 대사관은 이런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하기 위해 어려운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