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中대사에 ‘다이빙’ 주유엔 부대사 내정

주한 中대사에 ‘다이빙’ 주유엔 부대사 내정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24-11-14 00:10
수정 2024-11-14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다이빙 신임 주한 중국대사. 연합뉴스
다이빙 신임 주한 중국대사.
연합뉴스


신임 주한 중국대사에 다이빙(戴兵) 주유엔 중국 부대사가 내정됐다. 주한 중국대사는 지난 7월 싱하이밍 전 대사가 이임한 뒤 공석 상태다.

13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다이빙 부대사를 신임 주한 중국대사로 내정하고 최종 검토 절차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안으로 공식 발표한 뒤 한국 정부에 대한 아그레망(외교사절에 대한 사전 동의) 신청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1967년생으로 올해 57세인 다이 부대사는 안후이사범대학 외국어과를 졸업하고 1995년 중국 외교부 아프리카사(司·한국 중앙부처의 ‘국’에 해당)에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 및 싱가포르 주재 대사관, 외교부 북미대양주사 등을 거쳐 2017년부터 아프리카사장(국장)을 지냈으며 2020년 유엔 주재 대표부 부대사로 임명돼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다만 한국어에 능통했던 싱 전 대사와는 달리 다이 부대사는 ‘한반도통’으로 분류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그간 주한 대사로 보통 ‘국장급’ 인사를 파견해 왔는데 이번 인사도 그동안의 전례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임 싱 대사는 본부 국장을 맡진 않았지만 아주국 부국장을 지낸 뒤 몽골 대사를 거쳐 한국에 부임했었다.
2024-11-1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