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 일정은 4박5일의 일정이었지만 방문지는 지린(吉林)과 헤이룽장(黑龍江) 등 2개 성(省)에 국한됐다.
방문지마다 선친인 김일성 주석의 항일 유적지를 방문한 데서 보이듯 이번 방중이 ‘혁명 혈통’을 부각하려는 목적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김 주석의 주요 항일 활동 무대는 지린성과 헤이룽장성 일대였기 때문이다.
실제 김 위원장은 방중 첫날인 지난 26일 김 주석이 다녔던 지린시 위원중학교를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하얼빈(哈爾濱) 타이양다오(太陽島)의 동북항일연군 기념관과 무단장(牧丹江) 동북항일연군 기념탑 등을 순례하는 등 방문지마다 빠짐없이 선친의 항일 유적지를 찾았다.
선친의 ‘혁명 사상’을 계승, 현재 처한 국내외적인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화폐 개혁 실패 등 잇단 실정으로 이반된 민심과 보수파들의 불만을 잠재우려는 의도도 담겼던 것으로 해석된다.
동북에만 머문 이유가 과거의 전통적 중국 방문과는 달리 북-중 경협에 방점을 찍은, 철저한 ‘실사구시’ 차원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미 지난 5월 방중, 양국간 현안에 대해 충분히 논의한 만큼 이번에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과의 회담 이외에는 굳이 정치 1번지인 베이징을 찾아야 할 이유가 없었다는 얘기다.
다가오는 노동당대표자대회를 겨냥, 김정은 후계 체제를 중국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방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으나 중국이 30일 초청 대상에 김정은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밝힌 만큼 설득력이 떨어진다.
오히려 북한과 접해 있어 실질적인 경제 협력을 꾀할 수 있는 지린을 애초 이번 중국 방문의 주요 타깃으로 삼았다는 분석에 수긍이 간다.
대규모 두만강 유역 개발 프로젝트인 ‘창지투(長吉圖.창춘-지린-두만강) 개방 선도구’ 건설과 접목해 북한의 경제난을 해결할 수 있는 돌파구를 찾는데 이번 방중의 역점을 뒀을 것이라는 얘기다.
김 위원장이 지난 27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과의 회담에서 “동북지역의 발전상을 직접 목격하면서 감명받았다”며 “이런 놀라운 변화는 중국 당국의 동북진흥전략 덕”이라고 밝힌 것은 그런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
중국의 개발 전략에 공감을 표시하면서 이를 벤치 마킹 대상으로 삼을 수 있음을 내비쳤다고 불 수 있다.
북한 최고지도부의 방중 사상 전례 없이 만포에서 지린성 지안(集安)을 넘어 지린으로 직행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과거 김일성 주석이 러시아를 방문하면서 투먼(圖們)을 경유하긴 했지만 북한 최고 지도부가 만포-지안 노선을 택했던 전례는 지금껏 없다.
만포-지안 노선을 선택한 이유가 지난 5월 방중 때 외신에 적나라하게 노출됐던 만큼 보안 유지에 각별한 신경을 쓴 것이라는 해석도 물론 있지만 주요 방문지인 지린으로 직접 가는 단거리 코스를 원했다는 설명도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이번 방중에서는 북한이 ‘북한의 선전(深천<土+川>)’으로 육성하려는 의욕을 보이는 라진항을 창지투 개방 선도구 개발과 연결해 물류 항구로 육성하는 방안이 논의 됐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중국이 사용권 확보에 공을 들이는 청진항 개방과 북-중 접경지역의 다각적인 경제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북.중 양측이 폭넓고 심도 있게 대화했을 가능성이 크다.
압록강 상류인 만포-지안 코스를 방중 코스로 택한 것을 두고 최근 압록강 유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홍수 피해와 연관짓는 시각도 있다.
지난달 말부터 계속된 폭우로 북한과 중국이 공동 관리하는 압록강 상류 댐들의 수문을 일제히 개방한 탓에 중국에 비해 지대가 낮은 압록강 하류의 북한 측 피해가 컸다는 점을 강조, 중국의 재해 지원 규모를 늘리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최근 홍수 피해가 잇따랐음에도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자체적으로는 수해 복구에 드는 재원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북한으로서는유일하게 의지할 수 있는 중국을 최대한 압박, 지원 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었다는 것.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전격적으로 워낙 이뤄지는 바람에 동북지역 말고는 마땅히 선택할 방문지가 없었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중국의 한 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철저하게 베일에 가려졌던 이유는 보안이 철저했던 점도 있겠지만 사전 충분한 협의 기간 없이 돌발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라며 “촉박하게 일정을 짜는 바람에 동북지역 이외에는 다른 방문지를 고려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양=연합뉴스
방문지마다 선친인 김일성 주석의 항일 유적지를 방문한 데서 보이듯 이번 방중이 ‘혁명 혈통’을 부각하려는 목적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김 주석의 주요 항일 활동 무대는 지린성과 헤이룽장성 일대였기 때문이다.
실제 김 위원장은 방중 첫날인 지난 26일 김 주석이 다녔던 지린시 위원중학교를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하얼빈(哈爾濱) 타이양다오(太陽島)의 동북항일연군 기념관과 무단장(牧丹江) 동북항일연군 기념탑 등을 순례하는 등 방문지마다 빠짐없이 선친의 항일 유적지를 찾았다.
선친의 ‘혁명 사상’을 계승, 현재 처한 국내외적인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화폐 개혁 실패 등 잇단 실정으로 이반된 민심과 보수파들의 불만을 잠재우려는 의도도 담겼던 것으로 해석된다.
동북에만 머문 이유가 과거의 전통적 중국 방문과는 달리 북-중 경협에 방점을 찍은, 철저한 ‘실사구시’ 차원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미 지난 5월 방중, 양국간 현안에 대해 충분히 논의한 만큼 이번에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과의 회담 이외에는 굳이 정치 1번지인 베이징을 찾아야 할 이유가 없었다는 얘기다.
다가오는 노동당대표자대회를 겨냥, 김정은 후계 체제를 중국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방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으나 중국이 30일 초청 대상에 김정은이 포함돼 있지 않다고 밝힌 만큼 설득력이 떨어진다.
오히려 북한과 접해 있어 실질적인 경제 협력을 꾀할 수 있는 지린을 애초 이번 중국 방문의 주요 타깃으로 삼았다는 분석에 수긍이 간다.
대규모 두만강 유역 개발 프로젝트인 ‘창지투(長吉圖.창춘-지린-두만강) 개방 선도구’ 건설과 접목해 북한의 경제난을 해결할 수 있는 돌파구를 찾는데 이번 방중의 역점을 뒀을 것이라는 얘기다.
김 위원장이 지난 27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과의 회담에서 “동북지역의 발전상을 직접 목격하면서 감명받았다”며 “이런 놀라운 변화는 중국 당국의 동북진흥전략 덕”이라고 밝힌 것은 그런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
중국의 개발 전략에 공감을 표시하면서 이를 벤치 마킹 대상으로 삼을 수 있음을 내비쳤다고 불 수 있다.
북한 최고지도부의 방중 사상 전례 없이 만포에서 지린성 지안(集安)을 넘어 지린으로 직행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과거 김일성 주석이 러시아를 방문하면서 투먼(圖們)을 경유하긴 했지만 북한 최고 지도부가 만포-지안 노선을 택했던 전례는 지금껏 없다.
만포-지안 노선을 선택한 이유가 지난 5월 방중 때 외신에 적나라하게 노출됐던 만큼 보안 유지에 각별한 신경을 쓴 것이라는 해석도 물론 있지만 주요 방문지인 지린으로 직접 가는 단거리 코스를 원했다는 설명도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이번 방중에서는 북한이 ‘북한의 선전(深천<土+川>)’으로 육성하려는 의욕을 보이는 라진항을 창지투 개방 선도구 개발과 연결해 물류 항구로 육성하는 방안이 논의 됐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중국이 사용권 확보에 공을 들이는 청진항 개방과 북-중 접경지역의 다각적인 경제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북.중 양측이 폭넓고 심도 있게 대화했을 가능성이 크다.
압록강 상류인 만포-지안 코스를 방중 코스로 택한 것을 두고 최근 압록강 유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홍수 피해와 연관짓는 시각도 있다.
지난달 말부터 계속된 폭우로 북한과 중국이 공동 관리하는 압록강 상류 댐들의 수문을 일제히 개방한 탓에 중국에 비해 지대가 낮은 압록강 하류의 북한 측 피해가 컸다는 점을 강조, 중국의 재해 지원 규모를 늘리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최근 홍수 피해가 잇따랐음에도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자체적으로는 수해 복구에 드는 재원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북한으로서는유일하게 의지할 수 있는 중국을 최대한 압박, 지원 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었다는 것.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전격적으로 워낙 이뤄지는 바람에 동북지역 말고는 마땅히 선택할 방문지가 없었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중국의 한 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철저하게 베일에 가려졌던 이유는 보안이 철저했던 점도 있겠지만 사전 충분한 협의 기간 없이 돌발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라며 “촉박하게 일정을 짜는 바람에 동북지역 이외에는 다른 방문지를 고려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양=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