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불편했던 왼손을 자유롭게 쓰는 장면이 조선중앙TV를 통해 공개됐다.
이런 장면이 담긴 프로그램은 29일 오후 전파를 탄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여러 부문을 현지지도하셨다’라는 제목의 기록영화(다큐멘터리)였다.
9월 초순부터 11월 초순까지 2개월여 동안의 김 위원장 공개활동 내용을 편집한 이 기록영화에서 그는 한 아파트에 들러,오른손으로 방안의 옷장 문 손잡이를 잡아당긴 뒤 왼손을 자연스럽게 올려 다른 쪽 문을 열었다.
이미지 확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왼손을 자유롭게 쓰는 장면이 29일 조선중앙TV를 통해 공개됐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지난 10월 8일 한 아파트에 들러 오른손으로 방안의 옷장 문 손잡이를 잡아당긴 뒤 그동안 뇌졸중 후유증으로 불편했던 왼손을 자연스럽게 올려 다른 쪽 문을 여는 모습. 조선중앙TV·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왼손을 자유롭게 쓰는 장면이 29일 조선중앙TV를 통해 공개됐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지난 10월 8일 한 아파트에 들러 오른손으로 방안의 옷장 문 손잡이를 잡아당긴 뒤 그동안 뇌졸중 후유증으로 불편했던 왼손을 자연스럽게 올려 다른 쪽 문을 여는 모습. 조선중앙TV·연합뉴스
김 위원장이 10월8일(조선중앙통신 10월29일 보도) 현지지도(시찰)한 이 아파트는 대동강변에 신축된 예술인 거주 아파트라고 기록영화는 밝혔다.
김 위원장은 2008년 8월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집중적인 치료를 받았으나 왼쪽 팔과 왼쪽 다리는 계속 제대로 쓰지 못했다.
그후 북한 매체가 전한 공개활동 영상에서 김 위원장은 자주 왼쪽 다리를 절었고,왼팔을 부자연스럽게 늘어뜨리거나 외투 겉주머니에 넣고 있는 모습이 많이 포착됐다.
그는 또 박수를 칠 때도 불편한 왼손을 아래에 고정한 채 오른손을 내려치는 특이한 동작을 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의 박윤길 교수(재활의학과)는 “뇌졸중 회복을 보통 7단계로 구분하는데 팔을 늘어뜨린 상태는 4단계,팔을 들어 손으로 문을 여는 동작은 5∼6단계로 본다”면서 “김정일 위원장의 뇌졸중 후유증이 다소 호전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 유호열 교수(북한학과)는 “김 위원장의 건강이 호전되면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의 완급을 조절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당장 내년에 김정은을 군 최고사령관에 추대하거나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하지 않고 우상화 작업 등을 통해 후계기반을 다지는데 주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