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오른쪽) 외무성 제1부상과 커트 캠벨(왼쪽) 미 국무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잇따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했다. 김 부상은 7일, 캠벨 차관보는 전날 밤 도착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캠벨 차관보의 방중 계획이 사전에 알려졌다는 점에서 김 부상이 캠벨 차관보 방중에 맞춰 중국을 방문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당초 7일 방중키로 했던 캠벨 차관보가 방중 시점을 당겼다는 점에서 중국을 매개로 북한과 미국 간 6자회담 재개 문제 등을 놓고 ‘간접대화’를 나눴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캠벨 차관보는 중국 외교부의 양제츠 부장, 장즈쥔(張志軍)·추이톈카이(崔天凱) 부부장과 만나 미·중 전략경제대화 안건을 주로 협의했으며 북핵 문제 등도 비중 있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상은 중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를 만나 회담 재개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지난주 우리 측 수석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방중, 우 특별대표와 만난 직후여서 북한의 입장 변화 여부가 주목된다. 당시 위 본부장은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 우라늄농축 프로그램(UEP)에 대한 유엔 안보리 논의 ▲핵개발 모라토리엄(중지) 등 북한의 진정성 있는 조치 ▲남북대화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우 특별대표는 “6자회담과 남북대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고, UEP를 포함한 모든 문제를 6자회담에서 다루자.”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4-0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