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대부분 영양실조, 유통 약은 거의 가짜
북한에는 무상의료가 법제화돼 있지만 주민들은 의사에게 월급만큼의 선물을 주고서야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3일 전했다.RFA에 따르면 최근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에서 북한 주민 370명을 조사한 길버트 번햄 미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북한의 무상치료제도는 실제와 크게 달랐다”며 이런 내용의 조사결과를 소개했다.
번햄 교수는 “90% 정도의 북한 주민이 의사에게 (돈이나 식량, 담배, 술 등의) 선물을 줬다고 한다”며 “농민은 의사에게 치료를 받으려고 월수입의 140%를 선물비용으로 썼고, 사무직 근로자는 월수입의 80%, 공장 근로자는 60%를 사용했다”고 전했다.
그는 “40대 북한 근로자의 월평균 수입이 미화 45달러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선물비용은 엄청난 부담”이라고 말했다.
번햄 교수의 조사 결과 지난 1년간 북한의 열 가구 중 여덟 가구에서 최소 한 명이 입원을 했고 환자 10명 중 2명은 어린이였다. 또 환자 대부분이 영양실조로 병원 신세를 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은 주로 시장에서 약을 구하는데 시장에서 유통되는 약 대부분이 가짜라고 번햄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북한에 무료로 결핵 치료약을 제공해도 약이 중간에 빼돌려져 시장으로 흘러나가고 있고, 환자들이 제대로 약을 먹지 못하는 바람에 균을 죽이기 어렵고 전염도도 높은 ‘다제내성결핵’에 걸리는 일이 많다고 전했다.
북한에서는 출신성분이 좋거나 당의 간부직을 맡고 있는 경우 먼저 치료를 받을 수 있고, 무상의료제라고 해도 의료수준이 낮아 주민들이 크게 혜택을 입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