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시대 선언] “北내부 18~24개월 뒤 심각한 동요 가능성”

방금 들어온 뉴스

[北 김정은시대 선언] “北내부 18~24개월 뒤 심각한 동요 가능성”

입력 2011-12-24 00:00
수정 2011-12-24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아시아 전문가’ 오공단 美국방硏 책임연구원 인터뷰

“앞으로 18~24개월 뒤 북한 내부에 심각한 동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오공단 미국 국방연구원(IDA) 책임연구원은 22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후 정세를 이같이 전망했다. 오 연구원은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1997년부터 미 국방연구원 군사 부문에서 일해 온 동아시아전문가다.

●당·정·군 사이 회의론 제기될 수도

이미지 확대
오공단 美국방硏 책임연구원
오공단 美국방硏 책임연구원
→김정일 사망 사실을 한·미 정보당국이 일찍 감지하지 못했는데, 첨단장비로도 포착이 힘든가.

-방이나 정원 안에서 사망하면 위성으로 잡을 수 없다. 열차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미뤄 김정일이 열차 안에서 사망하지 않은 것은 분명한 것 같다.

→북한 내부에 급변사태가 올까.

-유교적 전통으로 애도기간 중에는 분란 없이 단결하는 쪽으로 갈 테지만, 중기적으로 18~24개월쯤 됐을 때 김정은의 역량에 한계가 드러나면 당·정·군 사이에서 그를 옹위하는 데 회의를 제기할 수 있다. 주민들도 식량사정이 더욱 어려워지면 동요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개혁·개방으로 가는 것은 필연적이다.

→지금 보면, 김정은을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주민들도 대성통곡을 하는 등 분란의 기미가 안 보이는데.

-북한에 휴대전화가 100만대나 있고 탈북자 등을 통해 북한 주민들도 이제 알 만큼은 안다. 김일성, 김정일 2대(代)까지는 복종했을지 몰라도 앞으로는 다를 수 있다. 주민들은 가짜로 우는 것이다.

→한·미가 북한 급변사태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나.

-양국 국방부가 김정일 사망에 대비한 준비를 철저히 해 놓았다. 미국이 조심스럽게 나가는 것은 북한에 도발할 명분을 주지 않기 위해서다.

●파워 과시 위해 도발 가능성도

→중국도 북한 급변사태에 대비하고 있을까.

-대량 탈북사태 등에 대비하고 있을 것이다.

→북한에 권력공백이 생길 경우 미·중 충돌이 있을까.

-미·중은 둘 다 핵 등 대량살상무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 할 것이다. 중국이 한반도에 함부로 들어오지 못할 것이다.

→북한이 핵을 제대로 통제할지에 대한 우려도 있다.

-잘할 것이다. 안 그러면 자기들부터 당하게 되니까.

→김정은이 파워 과시를 위해 도발할 가능성은.

-있다. 북한은 60여년간 도발과 위협을 통해 존속해 왔다.

→오히려 남·북, 북·미 간 대화가 더 빨라질 것이란 시각도 있는데.

-북한은 일단 내부를 통제하고 결속하느라 외부문제에 신경 쓸 여력이 없을 것이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12-2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