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로켓 공중폭발] “광명성 2호보다 낮은 수준” “최장 사정능력 6000㎞ 이하”

[北로켓 공중폭발] “광명성 2호보다 낮은 수준” “최장 사정능력 6000㎞ 이하”

입력 2012-04-14 00:00
수정 2012-04-14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日 군사전문가들 분석

일본과 중국 군사 전문가들은 13일 북한의 로켓 발사가 초보적 수준의 실패였다고 혹평했다.

일본의 군사평론가인 오카와 가즈아키는 “미사일의 밸런스가 나빠 공중분해됐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남쪽을 향한 발사는 지구의 자전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연료를 다량 적재할 필요가 있어 보다 높은 기술이 요구된다. 로켓의 강도가 충분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남쪽 발사는 높은 기술 요구

로켓 공학 전문가인 규슈대학의 야사카 데쓰오 명예교수는 “로켓이 1분 이상 날다가 바다에 떨어진 것은 로켓 1단의 엔진 부근에 뭔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 결과 로켓의 동체가 폭발했든지, 아니면 예정된 궤도를 벗어났기 때문에 북한이 스스로 폭파 지령을 발령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일본 해상자위대 출신의 군사기술 전문가인 다구치 쓰토무는 “1단 로켓이 분리된 후 여러 조각이 난 것으로 미뤄 2단 로켓의 엔진 연소실에 연료과잉 공급 상태가 되면서 폭발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일본 미래공학연구소의 히에다 히로오 우주정책 담당 이사는 “2009년 발사 때는 로켓의 3단 분리까지 갔다고 하는데, 이번에는 낮은 수준의 고장으로 실패해 의외”라고 말했다. 중국 텅쉰닷컴의 군사평론 사이트인 군정요망(軍情瞭望)은 “북한이 3단계 로켓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실제 가진 최장 로켓 사정능력도 6000㎞ 이내일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또 북한의 은하 2호나 은하 3호는 외관상 중국이 70년대 사용한 로켓 창정(長征) 1호와 유사해 보이지만 더 무겁고 조잡하다는 점에서 북한의 로켓 기술 수준은 창정 1호 수준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특히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려면 3단 로켓 기술은 물론 탄두의 중량 문제, 방열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면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개발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분석했다.

●70년대 中 창정 1호 수준도 안돼

현재 북한의 국력과 국제환경으로 볼 때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실용화하기는 아직 멀었으며 비록 북한이 이론상 미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더라도 국내 강성대국 선전용으로 사용되는 데 그칠 것이라고 이 사이트는 평가했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rlee@seoul.co.kr

2012-04-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