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난 2일 방북 중인 왕자루이(王家瑞)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접견하면서 최고지도자로서 외교무대에 공식 데뷔했다. 김 제1위원장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뜸했던 북·중 간 고위급 교류에 직접 나서면서 북·중 관계의 건재함을 과시하기 위해 연내 방중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미지 확대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일 방북 중인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만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이 단독으로 외빈을 만난 것은 처음이다.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일 방북 중인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만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이 단독으로 외빈을 만난 것은 처음이다.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 조선중앙통신은 3일 새벽 김 제1위원장이 전날 왕 부장 등 중국 측 대표단을 접견했다고 전하면서 왕 부장이 김 제1위원장에게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 등의 인사를 전했으며 김 제1위원장은 이에 대해 사의를 표시하는 등 “따뜻하고 친선적인 담화를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반면 중국 신화통신은 김 제1위원장이 왕 부장을 만난 자리에서 “경제를 발전시키고 생활 수준을 증진해 주민이 행복하고 문명적인 생활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 당의 목표”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은 또 왕 부장이 북·중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지키고 동북아의 항구적인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으나, 김 제1위원장의 방중 문제나 한반도 현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면담에는 북측 강석주 부총리, 김양건 당 통일전선부장, 김성남 당 국제부 부부장이, 중국 측 류훙차이(劉洪才) 주북 중국대사가 배석했다. 이어 열린 만찬에는 최룡해 군 총정치국장,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 강 부총리, 김영일 당 국제부장, 김양건 부장, 문경덕 당 비서, 김병호·김성남·리수용 당 부부장 등이 참석했다.
지난달 30일 방북한 왕 부장은 2009년 2월, 2010년 5월 등 방북할 때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후 주석의 ‘구두 친서’를 전달하는 등 북·중 간 현안을 조율해 왔다. 이 때문에 김 제1위원장의 첫 방중 일정 등도 협의했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그러나 중국은 10월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출범시켜야 하는 권력 교체기여서 방중 시기는 유동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김정은의 방중 문제가 당연히 얘기됐을 것이나 중국에서 새 지도부가 본격 등장한 뒤 김정은의 방중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고위급 인사가 방중해 사전 정지 작업을 한 뒤 김 제1위원장이 내년 초 방중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2-08-0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