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영유아, 만성 영양불량 상태…1990년대보단 개선”

“北 영유아, 만성 영양불량 상태…1990년대보단 개선”

입력 2013-06-21 00:00
수정 2013-06-21 16: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유엔기구 보고서 분석 결과

지난해 북한 영유아의 영양 상태는 1990년대 후반보다는 향상됐으나 여전히 만성 영양불량이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수경 인하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21일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주최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북한의 영양 및 2013년 식량 상황 토론회’에서 유엔기구의 2012 북한 영양 상태 보고서를 분석, 이같이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식량계획(WFP) 등이 지난해 9-10월 북한 당국의 협조를 얻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998년 62.3%였던 5세 미만 영유아의 만성영양불량률은 지난해 27.9%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급성영양불량률도 15.6%에서 4%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 2008년부터 북한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제기구의 영양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로 분석됐다.

이 교수는 그러나 영유아의 영양 상태가 과거보다는 개선됐으나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며, 이 조사가 추수기 직후에 이뤄진 것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특히 북한 내에서도 양강도와 자강도는 상황이 가장 심각하고 평양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지역별 격차도 컸다.

이 교수는 “영양지원 사업으로 겨우 영양상태가 개선됐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현재 지원이 줄어들고 있어 향후 다시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WFP의 2012·2013 양곡연도 북한의 곡물수급 상황을 분석한 결과 국내생산이 492만t으로 전년도보다 10% 가까이 향상됐다고 밝혔다.

이는 2012년 작황 개선의 영향에 따른 것이지만 총소요량이 542만t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식량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북한 원화의 쌀가격은 지난 2년 동안 3.25배로 상승했지만 국제시장 가격이나 이웃나라인 중국의 쌀 가격 상승세와 비슷하기 때문에 식량사정이 예년보다 나빠지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계절별로 식량의 최저가격과 최고가격의 폭이 60%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미뤄 만성적 식량난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정상적인 경우 5% 내외에서 형성된다.

연합뉴스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서울시의회 정지웅 의원(서대문구1·국민의힘)이 북아현 3구역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법에 따라 건축심의부터 다시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아현 3구역 재개발에 대한 건축심의 효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건축법 제11조 제10항에 따르면 건축심의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2년 이내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건축심의는 효력을 상실한다. 조합은 2023년 7월 11일 건축심의 완료를 통지받았다. 조합은 건축심의 완료 이후인 2023년 11월 30일 서대문구에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신청했으나, 서대문구는 올해 5월 20일 조합에 이를 반려 통보했다. 서대문구는 사업시행계획서에 기재된 사업 기간이 총회 결의와 상이한 점을 문제로 봤다. 조합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가 반려되자 건축심의 유효기간 등 법적 검토를 하지 않고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서대문구청의 반려 결정을 취소하고 인가 처분을 해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의 반려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정비 업계에 따르면 조합 측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 의원은 현행법상 북아현 3구역 재개발의 건축
thumbnail -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