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영변 핵시설 냉각수 부족 문제 겪어”<38노스>

“북한 영변 핵시설 냉각수 부족 문제 겪어”<38노스>

입력 2014-04-08 00:00
수정 2014-04-08 1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자로 올초 가동중단 또는 저전력 가동…자칫 방사능 유출 우려”

북한 영변 핵시설이 냉각수 공급 부족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는 자칫 방사능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분석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3차 핵안보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영변 핵시설에서 화재가 나면 체르노빌보다 더 심각한 핵 재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주목된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산하 한미연구소가 운영하는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최근 영변 핵시설을 촬영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라며 7일(현지시간) 이같이 전했다.

지난해 재가동한 5㎿급 가스 흑연 원자로가 올해 초 일시 가동을 중단했거나 전력 수준을 낮춰 가동한 것으로 보이고, 이는 이 원자로 제2 냉각 시스템의 냉각수 공급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라고 38노스의 대북 분석가 닉 한센은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7월 이 지역에 집중 강우와 홍수가 있었다며 이로 인해 냉각수 유입 수로가 바뀌고 물탱크가 모래에 뒤덮이면서 강바닥에 매설된 파이프들이 부서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한이 지난 2월까지 새로 만든 수로와 댐도 모래로 돼 있어 다시 홍수가 나면 쓸려나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냉각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이 원자로의 흑연 노심에 화재가 발생해 사소한 사고로도 방사능 유출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더구나 북한이 시험 가동을 준비하는 실험용경수로(ELWR)의 경우 냉각수 부족이 심각한 안전문제를 낳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영변 핵시설 원자로의 규모를 고려할 때 1986년 체르노빌 사고와 같은 대재앙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렇다 하더라도 특히 북한의 투명성 부족 때문에 방사능 유출은 주변국을 공포와 위기에 빠뜨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