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시진핑 연내 정상회담 가능성

김정은·시진핑 연내 정상회담 가능성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3-09 00:04
수정 2015-03-09 0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왕이 외교부장 “편리한 시기 봐야”…김정은 9월 승전기념식 첫 방중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8일 북·중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 “양측의 편리한 시기가 언제인지 봐야 한다”며 성사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미지 확대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연합뉴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연합뉴스


왕 부장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기간인 이날 중국의 외교 방향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북·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중·북 관계의 기초는 매우 튼튼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오는 5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관련해서는 “양국은 일회성 이벤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김 제1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관계없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김 제1위원장 간의 정상회담이 적절한 시기에 추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국 외교부의 통상적인 반응”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북·중 정상회담이 언제쯤 성사될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김 제1위원장이 오는 9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2차 세계대전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을 계기로 첫 방중을 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중국은 이미 “모든 관련국에 초청장을 발송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는 점에서 김 제1위원장도 초청 대상자 명단에 포함될 것은 확실해 보인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3-0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