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中 무관세 호시무역 100년 만에 재개

北·中 무관세 호시무역 100년 만에 재개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10-01 23:44
수정 2015-10-02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접경민 대상… 단둥에 무역구 15일 개장

북한과 중국의 접경인 중국 랴오닝성 단둥(丹東)에서 양국 주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호시(互市)무역이 100년 만에 재개된다. 1일 중국 단둥신문망에 따르면 단둥시는 궈먼항에 북·중 접경주민 간 무관세 교역을 허용하는 호시무역구 조성을 마치고 오는 15일 개장한다.

국경무역의 일종인 호시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한반도와 국경을 맞댄 단둥의 지리적 이점 덕분에 구한말까지 유지됐으나 일제 강점 후 중단됐다. 옛 공업기지 노후화로 침체에 시달리는 랴오닝성은 경제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호시무역구 재개를 채택하고 북·중 교역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단둥에 대해 지난 7월 무역구 운영을 승인했다. 단둥 호시무역구는 북중 국경지역 20㎞ 이내에 거주하는 양국 주민에게 상품교환 활동을 허용하고 하루 8000 위안(약 148만원) 이하 상품에 대해 수입관세와 과징금을 면제한다.

단둥시는 지난달까지 호시무역구의 상품거래 전시장, 물류창고, 주차장, 검사사무소 등 기초시설을 완성하고 기업투자유치 작업을 진행해 현재까지 50% 이상의 점포 입점률을 기록했다. 2013년 2월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이후 급격하게 벌어진 양국관계가 호시무역 재개로 호전될지 주목된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10-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