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8일 미국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인권 유린 혐의로 첫 제재대상으로 올린 것에 대해 ‘선전포고’라고 규정하며 강력 반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2014년 북한의 유엔인권결의안 비난 대규모 군중대회 모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14년 북한의 유엔인권결의안 비난 대규모 군중대회 모습
먼저 미국의 무시에 대한 반감이 큽니다. 일국의 지도자를 범죄자 취급했다는 것에 대한 분노입니다. 당연히 미국을 향한 ‘성전’, ‘보복’을 결의하는 북한주민들의 ‘군중대회’를 통해 내부의 단합된 모습을 보여줄 것입니다. 이어 대미비난 선전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무력시위도 예상됩니다.
그렇지만 북한 내부의 동요는 또 다른 고민거립니다.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김일성·김정일 등 선대들의 ‘카리스마’에 의해 지탱해왔던 북한이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는 국제사회로부터 조롱과 힐난의 대상이 된 것에 대한 자괴감 같은 것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자존심 문제죠.
2014년 한국을 국빈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협정서명식을 마치고 악수 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모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14년 한국을 국빈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협정서명식을 마치고 악수 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모습
특히 그간 강력한 우방이었던 중국의 변심이 더 아픕니다. 중국의 새지도자가 북한이 아닌 남한을 먼저 방문한 것도 문제지만, 중국 국민들이 자신들의 지도자를 향해 뚱보 3세라는 의미인 ‘진싼팡즈’라고 조롱하는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우방한테까지 무시당하는 지도자를 보는 주민들의 심정은 어떨까요. 과연 존경심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주민들의 존경심이 사라진다는 뜻은 곧, 통치의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도 그랬지만 북한 입장에서는 권위가 사라진 공간을 메우기 위해 공포를 통한 폭압통치에 나설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만 가지고는 돌아선 민심을 다잡기가 역부족일 것이라는 게 내외의 판단입니다.
이미지 확대
우리의 시장을 의미하는 북한 장마당에서 북한 주민들이 물건을 사고파는 모습. 들판에서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장면이 특이하다. 북한에는 200여개의 장마당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우리의 시장을 의미하는 북한 장마당에서 북한 주민들이 물건을 사고파는 모습. 들판에서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장면이 특이하다. 북한에는 200여개의 장마당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주민들은 생계를 걱정하고, 반면 정권은 권력 연장이 우선이어서 양측 간에는 좁힐수 없는 차이가 존재합니다.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지 않을 수 없겠죠.
이번 미국의 ‘김정은 범죄자 낙인’도 거슬러 올라가면 북한 스스로가 촉발한 것입니다. 올초 4차 핵실험에 이어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잠수함탄도미사일 발사, ‘화성10’ 중장거리미사일 발사 등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도발을 감행한 것이 원인입니다. 미국이 ‘김정은 범죄자’란 글자 하나 추가했을 뿐인데 북한은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 셈입니다.
지난 5월 미국의 드론 공습으로 숨진 것으로 전해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의 물라 아크타르 만수르가 탄 차량이 불타는 모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5월 미국의 드론 공습으로 숨진 것으로 전해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의 물라 아크타르 만수르가 탄 차량이 불타는 모습
일각에서는 미국이 최근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지도자를 드론공격으로 사살한 것처럼 김정은을 제거하기 위한 명분을 쌓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사실 여부를 떠나 김정은이 발뻣고 숙면취하기는 글렀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