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문건배후 발설논란’ 곤혹…기강문제 또 불거지나

靑 ‘문건배후 발설논란’ 곤혹…기강문제 또 불거지나

입력 2015-01-14 11:15
수정 2015-01-14 11: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와대의 한 행정관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의원을 비선실세 국정개입 문건유출 사건의 배후로 지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청와대가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14일 김 대표 수첩에 적힌 ‘청와대 문건파동 배후는 K, Y’라는 메모 속 주인공을 ‘김무성, 유승민’이라고 청와대 홍보수석실 음종환 행정관이 지목했다는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출신 이준석씨의 주장과 관련,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먼저 경위를 파악한 후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 사건을 두고 이 씨는 지난달 18일 음 행정관이 술자리에서 문건배후 관련발언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음 행정관은 “사실무근”이라고 반발, 사안이 진실공방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그러나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청와대는 이번 사건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논란과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항명성 사퇴파동 파문이 가라앉기도 전에 터지면서 또다시 청와대 공직기강 해이 논란이 불거지는게 아닌가 우려하는 분위기다.

특히 비록 실체없는 모임으로 드러나긴 했지만 세간의 의혹을 받았던 ‘십상시’ 멤버로 거론됐던 음 행정관이 문건파문과 관련해 거듭 구설에 오른 것 자체가 청와대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배후 발언을 놓고는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지만 음 행정관 역시 당시 새누리당 비대위원 출신인 이씨와 손수조씨, 신용한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장, 이동빈 청와대 제2부속비서관실 행정관 등이 모였던 술자리와 그 모임에서의 일부 발언 등은 시인하고 있다.

당시 음 행정관은 술자리에서 시사정치 프로그램에 출연 중인 이씨의 발언내용 등을 지적하면서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이 김 대표와 유 의원에게 줄을 대서 대구 지역에서 배지(국회의원)를 달려한다. 그런 사람(조응천) 말을 근거로 문건 의혹이 사실인 것처럼 논평해선 안 된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음 행정관이 대체로 청와대와 관계가 껄끄러운 것으로 알려진 집권여당 대표와 차기 원내대표 주자 등 두 인사를 거론한 것은 사실인 셈이다.

문건에 ‘십상시’ 멤버로 묘사돼 명예훼손을 당했다며 언론사를 상대로 소송을 낸 친박(친박근혜)계 행정관이 미묘한 시기에 여당 대표 등에 대한 언급을 한 것 자체가 당청간의 마찰을 가져올 소지가 있는 점을 감안하면 언행이 신중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새누리당 내에서도 비박계를 중심으로 청와대 공직기강 문제와 인적쇄신론을 재차 거론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재오 의원은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문고리 3인방도 부족해 행정관까지 나서서 헛소리를 하고 돌아다니고 이게 되겠느냐”며 “비선실세가 있는 없든, 문고리 3인방이 국정을 농단했든 안했든, 여론은 그 사람들 자리를 바꾸든지 인적쇄신을 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건 배후 발언을 계기로 야당의 공세도 더욱 강화되는 분위기다.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원내대표는 “국민 걱정을 덜어줘야 할 청와대가 오히려 의혹을 증폭시켜 국민이 청와대를 걱정해야 할 지경”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