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10일 대통령 취임식이 끝나자마자 모교인 숙명여고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김 여사는 10일 취임식이 끝난 후 서울 도곡동에 위치한 숙명여고를 찾아갔다. 김 여사는 1970년 숙명여중에 입학해 73년 숙명여고(62기)에 진학한 이른바 ‘6년 숙명인’이다. 이날은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동문 기대표들이 만나는 날이었고, 김 여사는 62기 기 대표로서 이 자리에 참석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0일 낮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열린 취임선서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2017. 05. 10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0일 낮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열린 취임선서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2017. 05. 10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취임식 옷차림으로 회의장에 들어선 김 여사를 동문들은 박수로 맞았다. 동문들은 “그 옛날에 왕비가 세운 우리 학교에서 111년 만에 첫 영부인이 나왔다”고 했다.
숙명여고는 1906년 5월 22일 고종의 계비 순헌황귀비가 세운 여성 사학이다.
김 여사의 은사인 명신여학원 이정자 이사장은 김 여사의 손을 잡곤 “내가 학교를 이렇게 오랫동안 지키고 있었던 것이 오늘을 보려고 그랬던 것 같다”며 눈물을 흘렸다. 동문들은 “이 세상에서 제일 강하고 카리스마 있는 우리 선생님이 눈물 흘리신 걸 오늘 처음 봤다”고 했다.
김 여사는 “제가 여성으로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지 이곳에서 6년 동안 선생님들이 가르쳐 주셨다. 정말 감사하다”며 허리 굽혀 인사했다. 김 여사의 2년 손위 언니 김명숙(작고)도 숙명여고 출신이다.
대선 기간 중에도 김 여사는 숙명여고 동문들의 도움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문 대통령의 취약 지역으로 꼽히던 서울 강남 등지에서 동문들이 기수별로 삼삼오오 모임을 갖고 물밑 지원을 벌였다고 한다.
김대중 정부 때 총리에 지명됐던 장상 전 총리서리와 김 여사의 중·고교 친구인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모두 숙명여고 출신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