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직무 정지 기간에도 청와대 업무 추진비로 하루에 807만원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굵직한 행사ㆍ업무가 집중된 임기 초인 새 정부(768만원)보다도 더 많이 썼다.
이미지 확대
청와대가 인사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18일 빨간불이 켜진 신호등 너머로 청와대가 보이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청와대가 인사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18일 빨간불이 켜진 신호등 너머로 청와대가 보이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27일 헤럴드경제에 따르면 청와대의 올해 상반기 업무추진비 14억 4966만원 중 박근혜 정부가 10억 5010만원을 지출했다. 이 시기는 박 전 대통령이 직무정지된 기간이다.
이는 작년 말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결정 이후 청와대가 짐 정리와 내부구조 정비, 문서 분류ㆍ파쇄 등의 작업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순실 게이트’가 본격화된 작년 9월이후 청와대가 문서파쇄기 26대를 추가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올해 상반기 대통령비서실 및 국가안보실 업무추진비 집행내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집행액은 연간 예산액 71억 9432만원의 20.1%인 14억 4966만원이다. 그 중 새 정부 출범 후 집행된 액수는 3억 9956만원이고 박근혜 정부의 집행액은 10억 5010만원이다.
새 정부는 출범 후 현재까지 업무추진비를 간담회 관련 비용(1418회, 2억149만원), 국ㆍ내외 주요 인사 초청행사비(15회, 1억6489만원), 경ㆍ조화비 및 기념품비(20회, 1601만원), 음료수 구입 등 기타경비(165회, 1717만원)을 지출했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