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SNS에 올린 토리의 근황 사진에 네티즌들이 걱정 어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실내에 있을 줄 알았던 토리가 바깥에 묶여 있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 토리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 대통령 토리
문 대통령 토리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 대통령 토리
유기견 토리의 입양을 추진한 동물권단체 케어는 6일 논란이 된 토리의 사진에 대해 청와대에 확인한 내용을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진 속 토리의 줄은 목줄이 아닌 산책을 하는 가슴줄이며, 마루와 친해지고 같이 산책시키기 위해 밖에 나와 있던 시간에 찍힌 사진이다”라면서 “케어의 입양원칙을 잘 알고 있고, 토리가 새로운 환경에 자연스럽게 적응하도록 천천히 시간을 가지며 하나하나 단계를 밟는 중이다. 마루랑 많이 친해졌고 둘이 산책을 잘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일 산책이 필수인 마루와 토리가 함께 산책할 때 서로 거부감이 없도록 친해지는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케어는 “토리를 입양 보내는 여러 과정에서 이미 케어의 입양원칙과 토리가 짧은 목줄에 오래 묶인 채 학대받아온 히스토리도 상세히 설명했으며 청와대도 이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온라인상에서 토리를 향한 더 이상의 억측은 자제해달라고 부탁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토리를 반려동물로 입양하면서 목줄에 묶여 평생 살게 하지 않으며, 최소한의 펜스를 치고 자유롭게 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산책을 필수적으로 시키는 등의 규정에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케어는 토리가 학대로 고통받았던 아픔이 있는 만큼 사저 안에서 키워주길 당부했으며 평소 마루와 찡찡이를 관저로 데려와 손수 케어하는 문 대통령과 함께라면 토리도 걱정 없이 잘 지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케어는 “일반 입양과 마찬가지로 정기적으로 토리의 건강과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청와대측과 이미 협의했다. 토리에 대해 애정과 관심을 보내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