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꼬 없는 찐빵’ 긴급 방역회의

광주 연합뉴스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확인차 대기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재개된 12일 광주 북구 예방접종센터에서 특수교육 및 시설 종사자들이 백신을 접종받은 뒤 이상반응 확인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광주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우선 백신 수급과 관련해 “이달부터 노바백스 백신의 국내 생산이 시작되고 상반기 백신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도 확보했다”면서 “6월부터 완제품이 출시되고, 3분기까지 2000만회분(1000만명분)이 우리 국민들을 위해 공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변이 바이러스용 개량 백신과 내년도 이후의 백신 확보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지난 1월 노바백스 백신 4000만회분(2000만명분)을 빠르면 5월부터 추가 확보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공급 일정이 기존 발표보다 늦춰지게 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최근 확산세와 관련해선 “방심하다가는 폭발적 대유행으로 번질 수 있는 아슬아슬한 국면”이라며 “여기서 밀리면 민생과 경제에 부담이 생기더라도 거리두기 단계 상향 조처를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위기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위기 요인으로는 ▲감염 재생산지수 1.12(유행 단계)까지 상승 ▲최근 1주간(6~12일) 하루평균 지역발생 확진자 607명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비율(4~10일) 28.2% 등이다.
이에 대해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기존에 나왔던 대책들처럼 구호만 있는 것 같다. ‘앙꼬 없는 찐빵’ 같은 느낌”이라면서 “최근 국민들 경각심이 완화된 점 등을 고려하면 확산세를 꺾기에는 역부족일 거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한편 추진단은 이날 지난달 10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뒤 두통, 오심 등의 증상을 호소하다 ‘뇌정맥동혈전증’(CVST) 진단을 받은 20대 남성이 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됐다고 밝혔다. 다만 김중곤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 예방접종피해조사반장은 “뇌정맥동에 혈전증은 있었지만 혈소판 감소증이 동반되지 않아 최근 유럽의약품청에서 제시한 혈소판 감소증 동반 혈전증 사례에는 부합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