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예
김지예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김지예 기자입니다.
기획·연재
  • 에듀톡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부모·학원 찬스 끝”… 중·고교 수행평가, 수업 시간에만 허용

    교육부가 2학기부터 모든 중·고등학교 수행평가가 수업안에서 이뤄지도록 운영방식을 바꾼다고 2일 밝혔다. 수행평가가 많게는 한 학기에 수십건에 육박해 부모나 사교육에 의존한다는 비판이 나오자 학생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취지다.이날 교육부가 발표한 수행평가 개선안에는 ▲모든 수행평가는 수업 시간 내 이뤄진다는 원칙을
  • 6월 모의평가 ‘물영어’… 19%가 1등급

    6월 모의평가 ‘물영어’… 19%가 1등급

    지난 4일 시행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영어 1등급 비율이 19%를 찍으며 절대평가 전환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상 7% 안팎인 영어 1등급 비율이 크게 오르면서 대입 수시모집 지원을 앞둔 수험생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30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 교육장관 후보자, 첫날부터 ‘서울대 10개 만들기’ 못박았다

    교육장관 후보자, 첫날부터 ‘서울대 10개 만들기’ 못박았다

    “지역 사립대와 동반 성장하는 정책입시 경쟁 약화 위한 전략도 담아” 일각 “거점 대학 쏠림 탓 지역 소멸”거점국립대 총장 출신인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이 이재명 정부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비수도권 국립대
  • ‘서울대 10개’ 의지 밝힌 이진숙…교육계선 찬반 엇갈려

    ‘서울대 10개’ 의지 밝힌 이진숙…교육계선 찬반 엇갈려

    거점국립대 총장 출신인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이 이재명 정부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비수도권 국립대 9곳을 서울대 수준으로 키워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루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지가 인사에 담겼다는 평가다. 다만
  • 영어 5명 중 1명이 1등급 ‘역대 최대’…난도 조절 실패한 6모

    영어 5명 중 1명이 1등급 ‘역대 최대’…난도 조절 실패한 6모

    지난 4일 시행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영어 1등급 비율이 19%를 찍으며 절대평가 전환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상 7% 안팎인 영어 1등급 비율이 크게 오르면서 대입 수시모집 지원을 앞둔 수험생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30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 “정시파이터 늘어서?”…대학 신입생, 검정고시 출신 늘었다

    “정시파이터 늘어서?”…대학 신입생, 검정고시 출신 늘었다

    올해 4년제 대학교 신입생 중 검정고시와 일반고 출신 학생의 비중은 증가했지만,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등 자율고 출신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내신 대신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도전하기 위해 자퇴한 학생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29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공개한 일반·교육대학 193개교
  • “대학 시험 챗GPT에 풀게 했더니 A+… 한국은 AI에 추월당할 능력만 키워”

    “대학 시험 챗GPT에 풀게 했더니 A+… 한국은 AI에 추월당할 능력만 키워”

    “우리는 20세기 교육 방식 머물러융합·창조적 결과 내는 교육 필요”“최근 대학 시험을 챗GPT에게 풀게 했더니 A+ 성적을 받았습니다. 지식을 머리에 넣어 주고 문제 풀이로 확인하는 교육은 이제 의미가 없습니다.”정재승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26일 경북 경주시 라한셀렉트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 정재승 교수 “AI시대에 아직도 20세기 교육…줄세우기 방식 버려야”

    정재승 교수 “AI시대에 아직도 20세기 교육…줄세우기 방식 버려야”

    “최근 대학 시험을 챗GPT에게 풀게 했더니 A+ 성적을 받았습니다. 지식을 머리에 넣어 주고 문제 풀이로 확인하는 교육은 이제 의미가 없습니다.”정재승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26일 경북 경주시 라한셀렉트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주최 하계대학총장세미나에서 인공지능(AI) 시대 대학 교육의 단면
  • “농촌 유학 후 현지 정착 많아… 주거·일자리 연계 필요”

    “농촌 유학 후 현지 정착 많아… 주거·일자리 연계 필요”

    농산어촌 폐교 위기 학교 살리고학생·학부모 인구 유입 ‘상생 효과’“아이의 농촌 유학을 위해 처음엔 어머니만 같이 갔다가 아버지까지 그 지역으로 이직하기도 합니다. 농촌 유학이 지역 정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이상수 서울시교육청 정책국장은 2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신문 인구포럼’
  • “지나친 학습, 아동학대 수준… 초등 의대반·유아 사교육 규제 절실”

    “지나친 학습, 아동학대 수준… 초등 의대반·유아 사교육 규제 절실”

    2012년 국어 교사로 서울 한 고교에 처음 부임했던 신소영(35)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 공동대표는 공교육 현장에서 교육 양극화를 경험하면서 교사로서 역할을 고민하게 됐다. 부모의 경제력과 사교육 지원에 따라 교육 격차가 생기고 성적으로 학생의 가능성까지 재단되는 현실을 마주했기 때문이다. 교단을 떠난 신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