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2만명의 서아프리카 작은 섬나라 카보베르데가 2026 북중미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는 소식이다. 탈락이 확정된 중국 인구 14억 1610만명의 0.037%에 불과하다. 카보베르데는 1460년 포르투갈이 점령한 이후 유럽과 미국을 잇는 삼각노예무역 중심지가 된다. 19세기 후반 노예제가 폐지되면서 카보베르데엔
연휴, 안마의자에서 휴대전화를 보며 뒤척이다 체코필하모닉오케스트라 홈페이지에 들어갔다. 체코필은 이달 대만과 일본을 거쳐 한국에서 연주회를 갖는다. 대문엔 중년과 노년 두 사내가 허름한 대중목욕탕에서 수건을 목에 걸고 웃고 있는 모습이 띄워져 있었다. 소주 CF에 나올 법한 동네 아재들이다.중년이 “체코필 연주회
중고등학교 시험문제 같아 민망하지만 ‘노벨문학상 수상의 3대 요소’라면 작품·번역과 함께 출판을 꼽아야 한다. 아무리 작품이 좋아도 번역이 제대로 되지 않고 출판이 뒷받침하지 못하면 ‘국내용’에 머물 수밖에 없다.1982년 수상자인 콜롬비아의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1967년 아르헨티나 수르출판사가 ‘백년
서울의 대표적 개봉관 중 하나였던 허리우드극장이 실버영화관으로 탈바꿈한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55세 이상이면 2000원에 영화를 볼 수 있다. 일반인도 55세 이상과 동행하면 역시 2000원이다. 적은 비용으로 영화를 보고 싶은 젊은이라면 극장 입구에서 마주친 어르신과 ‘즉석 친구’를 맺어도 뭐랄 사람이 없
쉬는 날이면 종종 파주 집에서 목적지 없이 차를 몰고 나선다. 양주로 가는 새 길은 통행량이 적어 느긋하게 달려도 다른 차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내 기억으로는 새 길이지만 찾아보니 2018년 개통이란다. 햇수로 8년이 지났다.길은 양주 상수리에서 덕정과 적성을 남북으로 잇는 도로와 만난다. 갈래길 편의점에서
조계종에는 ‘영규대사 및 800의승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있다. 지난 7월 회의에선 조윤호 부산대 교수를 전문위원으로 위촉했다. 조 교수는 중봉 조헌 선생 기념사업회에서도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조 교수는 역사학자가 아니다. 초음파를 이용한 원전 안전 기술로 세계적 주목을 받는 기계공학부 교수다.조 교수
조선시대 한양에서 영남으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은 한강 뱃길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마포나 광진에서 배를 타면 양평·여주와 원주 흥원창을 거쳐 충주에 닿았다. 여기서 상주나 대구 방면으로 가는 사람은 배에서 내려 문경새재를 넘었다. 영주나 봉화, 안동으로 가는 사람은 단양까지 배를 타고 가서 죽령을 넘어갔다.안동
‘분단 문학의 대명사’로 불린 소설가 이호철의 데뷔작 ‘탈향’(1955)은 6·25전쟁 당시 피난지 부산이 배경이다. 작가는 1950년 12월 흥남 철수 직전 원산 철수 당시 미군 수송선을 타고 고향을 떠났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탈향’은 함께 피난선을 탄 네 친구 이야기다. 처음엔 고향으로 돌아갈 날을
일본 규슈 남단의 가고시마로 늦은 휴가를 떠났다. 중앙역과 번화가 텐몬칸을 지난 공항버스의 종점은 화산섬 사쿠라지마가 눈앞에 펼쳐진 여객선 터미널이다. 다네가시마(種子島)로 가는 카페리 이름은 ‘프린세스 와카사’. 일본에선 뎃포(鐵砲)라 부르는 조총의 전래 역사에 관심이 있다면 와카사라는 이름이 생소하지는 않을
부산에서 배를 타고 일본에 가봐야겠다고 생각한 지가 오래됐지만 실천을 못 하고 있다. 후쿠오카나 시모노세키로 가는 여객선 운임은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 수준이다. 하지만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야 하는 시간과 비용을 따져 보니 경제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지하철을 비롯한 교통수단의 혜택을 받는 지공거사 ‘승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