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앞 눈 빨리 치워주세요”

“우리 집앞 눈 빨리 치워주세요”

입력 2010-01-05 00:00
수정 2010-01-05 1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4일 충북 제천에 27.5㎝의 폭설이 내려 도로 곳곳이 마비된 가운데 일부 시민들이 집앞에 쌓인 눈을 치우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일 충북 제천에 27.5㎝의 폭설이 내려 도로 곳곳이 마비된 가운데 일부 시민들이 집앞에 쌓인 눈을 치우고 있다.
연합뉴스
 사상 최대 폭설이 쏟아진지 만 하루가 지간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 연합회관 뒤편.

 4차선 도로는 여전히 눈에 덮여 차선을 식별할 수 없었다.수북이 쌓인 눈에 바퀴가 빠져 허둥대는 2.5t 트럭을 밀어올리느라 진땀을 흘리는 시민과 경찰의 모습은 현장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를 웅변하기에 충분했다.

 강남구 개포2동 주택가의 상황도 다르지 않았다.눈 쌓인 골목길에 차량이 지나다니면서 시커먼 진창이 깊게 패었고,주민들은 미끄러질까 종종걸음을 걸었다.

 이곳에서 재활용품 가게를 운영하는 서영석(51)씨는 “우리 골목에서 직접 눈을 치우는 주민은 나를 포함해 2명에 불과하다.어제처럼 눈이 많이 오면 어쩔 수가 없다”고 했다.

 2006년 서울시가 도입한 ‘내집 앞 눈치우기’ 조례가 이번 폭설로 망신을 톡톡히 당했다.

 강제조항 없이 주민의 선의에만 의지하는 방식이라 초기 홍보효과가 사라지고 주민들에게 잊혀지면서 무용지물의 헛구호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것.

 해당 조례는 집주인과 상가 관리자가 이면도로(폭 12m 이하 소형도로)와 보행로 등의 눈을 직접 치울 수 있도록 삽과 빗자루 등의 도구를 미리 갖춰 놓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각 자치구는 주민자치센터(동사무소) 등에 제설 도구를 비치해 필요할 때 주민들에게 빌려주게 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주민들은 제도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대학로의 한 무료 급식소에서 일하는 김연화(56.여)씨는 “눈 때문에 식료품 트럭이 들어오지 못해 김치를 손으로 날랐다.눈을 치우고 싶었지만 도구가 없어 못했다”고 한숨을 쉬었다.

 강남구 개포2동의 진인석(50.세탁소 운영)씨는 “주민이 도구를 빌려 제설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얘기를 처음 들었다.연립주택은 입주자들이 서로 미루다가 집 앞도 못 치우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자치구들은 홍보 부족이 문제라는 반응이다.

 종로구청 관계자는 “18개 주민센터에 삽 1천200여 개와 빗자루 1천여 개를 준비했지만 어제 폭설 때 도구를 빌려가는 비율이 50∼60% 정도였다.아는 사람만 빌리는 현상이 일어난 것 같다”고 답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조례에 아무런 의무 조항이 없는 상황에서는 앞으로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내놨다.

 예컨대 주민의 눈 치우기를 독려하는 미국에서는 집 앞 눈에 행인이 미끄러져 다치면 집주인에게 배상 책임을 지우는 법 조항이 따로 있다는 것.

 봉사단체인 ‘인간성 회복운동 추진협의회’의 고진광 대표는 “자발적인 눈 치우기 캠페인이 관공서 서류에만 존재하는 용어가 된 것 같아 안타깝다.민·관이 효율적으로 제설 작업을 하는 제도적 기반을 지금이라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