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에 동전 4개로 할 수 있던 일

1970년대에 동전 4개로 할 수 있던 일

입력 2010-03-08 00:00
수정 2010-03-08 0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 인구의 5분의 1 이상이 거주하는 서울은 과연 어떤 곳일까.

8일 통계청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물가는 30~40년 전보다 최대 121배가량 올라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전국 최대의 인구 이동, 통행, 소비 활동으로 우리나라의 경제를 이끌고 있었다.

서울 남성들은 취업 연령과 결혼이 갈수록 늦어지고 서울 여성들은 일생에 1.06명만 출산하며 가사 부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대학등록금 121배 급등


서울 생활의 변화를 물가로 살펴보면 대학등록금의 경우 1970년대 3만3천원에서 현재 400여만원으로 무려 121배가 뛰었다.

버스 요금은 1977년 40원에서 현재 1천원으로 25배, 지하철 요금은 1974년 30원에서 현재 1천원으로 33배, 택시 기본요금은 1972년 90원에서 현재 2천400원으로 27배가 올랐다. 연탄값은 1970년 18원에서 현재 500원으로 28배, 소줏값은 1975년 120원에서 현재 1천200원으로 10배가 상승했다.

서울의 하루는 극도로 번잡하다. 하루 평균 264명이 태어나고 106명이 사망한다. 197쌍이 혼인하는 반면 64쌍이 이혼한다. 하루 평균 인구 전출입은 7천349명, 통행인구는 3천150만9천명, 지하철 이용인구는 721만명에 달한다.

시내버스 이용인구는 하루 평균 461만5천명이며 지방세는 하루 360억원씩 걷힌다. 헌혈은 하루 평균 2천93명이 하며 자동차 증가 대수는 44대, 운전면허 취득자는 249명이다.

하루 평균 119구급활동은 1천31건, 1인당 급수량은 311ℓ, 건축허가는 35동, 전력사용량은 12만812㎿H, 여권발급은 3천174건, 유류소비량은 13만4천배럴, 도시가스 소비량은 1천329만3천㎥다.

◇ 경제활동 주축 인구 감소

서울의 남성은 전체 인구의 49.6%며 이 가운데 경제활동의 주축을 이루는 25~54세 인구가 2009년 53.1%에서 20년 후에는 43.8%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서울 남성의 초혼 연령도 점차 높아져 주혼인 연령층인 25~34세 남성의 68%가 미혼이며 서울 남성의 초혼 평균 연령은 31.7세로 30~34세에 결혼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서울 남성의 사망률 1위는 암과 심장질환이다. 연령별로는 40대부터 간과 심장질환, 50대부터 뇌혈관 질환 발생이 늘었다.

서울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29.3세로 1990년의 25.5세보다 4세가량 늦은 나이에 결혼하고 있다.

여성들이 일생에 출산하는 자녀 수는 평균 1.06명으로 부산(1.02명)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1970년의 합계출산율 3.05명과 비교하면 엄청난 변화인 셈이다.

서울 여성의 평균 수명은 82.7세로 남성(76.1세)보다 6년 더 오래 산다. 서울 여성의 3대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이며 암 사망률이 1위다.

서울 여성의 취업자 분포는 25~29세가 가장 높다. 출산과 육아의 영향으로 30~34세에는 취업자 분포가 낮아졌다가 이후 다시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서울 여성 중 가정생활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51.4%로 남성의 41.2%에 비해 높았다.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오금란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노원2)은 지난 10일 서울시 복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보조기기 지원체계는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해 개선돼야 한다며, ‘휠체어를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장애인용 차량 제조 및 개조 지원’과 ‘휠체어 전용 백팩의 보조기기 편입’, ‘보완대체의사소통(ACC) 등을 제안했다. 1년에 2회, 새로운 보조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를 등록하기는 매우 어렵고, 반영되는 예산도 매우 부족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애유형별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 또한 지적했다. 오 의원은 올해 9월 노원구에서 시행한 뇌병변장애인용 차량 개조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도 스스로 할 수 없는 덩치 큰 뇌병변장애인을 보호자가 직접 안아서 들어올리지 않고 휠체어에 탄 상태로 탑승하는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보조기기의 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의원은 “차 한 대 개조에만 약 6000만원이 소요돼 사실상 SUV 신차 구입비용과 비슷
thumbnail -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