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 ‘히젠토’ 환수운동 벌인다

명성황후 시해 ‘히젠토’ 환수운동 벌인다

입력 2010-03-25 00:00
수정 2010-03-25 1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을 한국으로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을 한국으로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인 26일 ‘히젠토(肥前刀) 환수위원회’가 출범해 일본 후쿠오카 쿠시다 신사의 히젠도 소장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환 촉구 운동을 펴기로 했다. 사진은 2006년 쿠시다 신사를 방문했을 당시 혜문 스님이 촬영한 칼과 칼집의 모습. 혜문스님 제공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을 한국으로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인 26일 ‘히젠토(肥前刀) 환수위원회’가 출범해 일본 후쿠오카 쿠시다 신사의 히젠도 소장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환 촉구 운동을 펴기로 했다. 사진은 2006년 쿠시다 신사를 방문했을 당시 혜문 스님이 촬영한 칼과 칼집의 모습.
혜문스님 제공


이미지 확대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을 한국으로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인 26일 ‘히젠토(肥前刀) 환수위원회’가 출범해 일본 후쿠오카 쿠시다 신사의 히젠도 소장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환 촉구 운동을 펴기로 했다. 사진은 2006년 쿠시다 신사를 방문했을 당시 혜문 스님이 촬영한 칼과 칼집의 모습. 혜문스님 제공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을 한국으로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인 26일 ‘히젠토(肥前刀) 환수위원회’가 출범해 일본 후쿠오카 쿠시다 신사의 히젠도 소장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환 촉구 운동을 펴기로 했다. 사진은 2006년 쿠시다 신사를 방문했을 당시 혜문 스님이 촬영한 칼과 칼집의 모습.
혜문스님 제공


안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뒤 15가지 이유 중 첫 번째로 ‘남의 나라 황후를 살해한 죄’를 거론했는데,시해 도구였던 ‘히젠토(肥前刀)’가 일본 후쿠오카에 있는 구시다(櫛田) 신사에 보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25일 종교계 등에 따르면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인 26일 ‘히젠토 환수위원회’가 출범,구시다 신사의 히젠토 소장에 문제를 제기하고 반환 촉구 운동을 펴기로 했다.

 위원장은 최봉태 변호사와 혜문스님이,기획위원은 이종우 문화재제자리찾기 실행위원과 이용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강보향 불교여성개발원 이사가 맡았다.

 혜문 스님은 2006년 문화재 환수운동을 하면서 자료를 조사하러 일본에 갔다가 이 칼의 존재를 알게 돼 구시다 신사에 들러 칼과 칼집,봉납기록을 확인했다.
이미지 확대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을 한국으로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인 26일 ‘히젠토(肥前刀) 환수위원회’가 출범해 일본 후쿠오카 쿠시다 신사의 히젠도 소장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환 촉구 운동을 펴기로 했다. 사진은 2006년 쿠시다 신사를 방문했을 당시 혜문 스님이 촬영한 칼과 칼집의 모습. 혜문 스님 제공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을 맞아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칼을 한국으로 반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안중근 의사 순국 100년인 26일 ‘히젠토(肥前刀) 환수위원회’가 출범해 일본 후쿠오카 쿠시다 신사의 히젠도 소장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환 촉구 운동을 펴기로 했다. 사진은 2006년 쿠시다 신사를 방문했을 당시 혜문 스님이 촬영한 칼과 칼집의 모습.
혜문 스님 제공


 이 칼은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 당시 경복궁의 황후 침전에 난입한 세 사람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토오 가쓰아키가 사용했으며,그가 1908년 구시다 신사에 기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건 당시 우익단체 소속이었던 가쓰아키는 일본의 저명한 문필가의 기록 등에서 명성황후를 살해한 가장 유력한 인물로 지목되고 있다.

 16세기에 장인이 만든 이 칼은 길이 120㎝,칼날 90㎝이며,나무로 만든 칼집에는 ‘늙은 여우를 단칼에 찔렀다(一瞬電光刺老狐)’라고 새겨져 있다.신사에서는 ‘황후를 이 칼로 베었다’라고 적힌 문서를 보관 중이다.

 환수위는 1895년 을미사변으로 지난 100여년간 발생한 양국 간의 비극적인 업보를 상징하는 이 칼이 파기되거나 한국 측으로 인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환수위 측은 “이 칼은 범행 도구로 쓰였던 흉기이므로 당시 조선 정부에 압수됐어야 했다.범인이 명성황후를 이 칼로 살해했다고 자백했는데도 일본에 있는 신사에 기증된 채 민간이 소유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히젠토는 존재만으로 한일 간 민족 감정상 충돌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일본이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참회하는 차원에서 이 칼을 한국에 인도하라”고 촉구했다.

 환수위는 26일 오후 1시에 조계종 중앙신도회 전법회관에서 출범식을 하고서 구시다 신사에 환수요청서를 보낼 예정이다.

 고종과 명성황후 무덤이 있는 경기도 남양주의 시의원도 행사에 참석,시의회에 환수요구안을 발의하고 일본에서의 법적 대응도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힌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지난 17일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영도매시장인 서울 가락시장에서 열린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가락김장축제)’에 참석해 김장 담그기 작업에 참여하며 나눔의 의미를 더했다. 가락김장축제는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8년째 이어지는 가락시장의 대표 나눔 행사이며, 시장을 구성하는 유통인과 공사가 예산을 마련하고 시민·봉사자들이 함께 김치를 담그며 겨울철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전통적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올해 행사에는 가락시장 유통인, 기업, 자원봉사자, 어린이, 외국인 등이 참여해 대규모 김장 작업이 진행됐으며, 현장에서 완성한 1만 상자(100t 규모)의 김치는 행사 종료 후 서울시 전역의 취약계층·복지시설 등에 기부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현장 제작 김치만 약 1500상자(전체 기부량의 15%)에 달해 공동체 참여의 의미가 더욱 확대됐다. 구 의원은 김치 명인과 함께 직접 김장을 담그며 일손을 보탰으며, 갑작스러운 기온 하락 속에서도 나눔에 함께한 시민들과 봉사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또한 구 의원은 “김장은 우리 이웃을 하나로 이어온 전통이자 따뜻한 나눔의 문화”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