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14일 공개한 ‘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기초 분석’ 결과 사립학교 성적이 국·공립 고교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김성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이 2010학년도 수능 성적 기초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4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김성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이 2010학년도 수능 성적 기초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체 영역에서 사립고가 상위 등급에 대거 포진한 현상이 나타났고, 표준점수(200점 만점 환산)에서도 국·공립고 평균이 사립고 평균보다 낮았다. 사립고의 과목별 평균을 보면 ▲언어 102.0 ▲수리 가 101.2 ▲수리 나 101.8 ▲외국어(영어) 102.1이다. 국립고 과목별 평균은 ▲언어 99.7 ▲수리 가 99.4 ▲수리 나 98.2 ▲외국어 98.7이다. 이 같은 격차는 지난해에도 비슷하게 나타났었다. 지난해 4월 평가원이 공개한 2005~2009학년도 수능분석 자료에서도 사립고의 수능 성적이 국·공립에 비해 언어는 1.1~2점, 외국어는 1.7~2.9점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남고·여고에 비해 남녀공학의 표준점수가 떨어지는 현상도 포착됐다. 언어 평균 표준점수는 ▲남고 101.2 ▲여고 104.5 ▲공학 98.8, 수리-가 표준점수 평균은 ▲남고 101.3 ▲여고 100.4 ▲공학 99.4이다. 수리-나 평균 표준점수는 ▲남고 102.2 ▲여고 101.2 ▲공학 98.0이고, 외국어 평균은 ▲남고 100.9 ▲여고 103.4 ▲공학 98.4이다. 남녀공학이 모든 영역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또 남고는 수리 영역에서 여고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했고, 여고는 언어·외국어 영역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심층적인 분석 평가가 필요한 대목이지만 학교 설립 유형이나 남녀와 같은 인구학적 변수가 면학 분위기 등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학부모들이 고교를 선택할 때 관련 변수를 염두에 두고 고려할 여지가 커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4-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