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유역 다목적댐도 ‘퇴사량’ 눈덩이

4대강 유역 다목적댐도 ‘퇴사량’ 눈덩이

입력 2010-06-20 00:00
수정 2010-06-20 1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양강·대청댐 설계치 초과…광동댐은 첫 준설

 전국 4대 강(江)의 바닥 뿐만 아니라 강 유역의 다목적댐으로 유입돼 쌓이는 모래의 양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최근 한강,낙동강 등 전국 4대강 유역에 있는 다목적댐 호수의 퇴사량을 조사한 결과,한강 유역 ‘소양강댐’의 경우 1㎢당 연간 914㎥(2006년)의 토사가 유입돼 설계치인 1㎢당 500㎥를 배이상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유역의 ‘임하댐’도 연간 밀려드는 토사량이 1㎢당 680㎥(2008년)로 설계치인 300㎥를 2배 이상 넘어섰고,금강 유역 ‘대청댐’ 역시 1㎢당 616㎥(2006년)로 설계치 300㎥를 크게 웃돌았다.

 섬진강의 ‘주암 본댐과 조정지댐’의 연간 퇴사량도 1㎢당 각각 469㎥(2003년),1천89㎥(〃)로 설계치 400㎥를 크게 상회한 것으로 파악됐다.

 각 다목적 댐의 퇴사량은 댐 준공 이후 10년마다 조사하고 있다.

 설계치를 초과하지 않은 댐들도 연간 1㎢당 기준으로 △한강 유역-충주댐 853㎥(설계치 1천㎥) △낙동강 유역-안동댐 109㎥(〃 133㎥),합천댐 639㎥(〃 695㎥),남강댐 350㎥(〃 450㎥) △섬진강 유역-섬진강댐 459㎥(〃 500㎥) 등 설계치에 육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목적댐의 총퇴사량은 △한강 유역 2억1천199만㎥ △낙동강 유역 3천185만㎥ △금강 유역 8천143만㎥ △섬진강 유역 2천606만㎥ 등 총 3억5천133만㎥(미조사 댐 제외)에 이르고 있다.

 이는 정부가 4대강 살리기사업을 통해 준설하겠다는 강모래 5억7천만㎥(낙동강 4억4천만㎥,한강·금강 각 5천만㎥,영산강 3천만㎥)의 62%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처럼 다목적댐으로 많은 양의 토사가 유입되면 그만큼 댐의 담수 능력이 줄어드는 것으로,지난 2008-2009년 강원 태백의 용수전용댐인 ‘광동댐’에서는 처음으로 8만7천411㎥의 퇴적토를 준설,9만㎥의 담수 능력을 추가로 확보하기도 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담수능력 확대를 위해 다목적댐에 쌓인 모래를 준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나 준설과정에서의 2차 환경오염이나 경제성 등 문제로 실행에 나서지는 못하고 있다.”라며 “하지만 퇴사량 증가로 인한 용수 확보나 공급에는 현재 차질이 전혀없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