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정부, 위안부 문제 인정·사죄해야”

“日 정부, 위안부 문제 인정·사죄해야”

입력 2010-11-18 00:00
수정 2010-11-18 1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버지도 자신이 남긴 기록이 평화를 위한 전시로 남겨지는 것을 기뻐하리라 생각합니다.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하고 해결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는 일들을 하루빨리 이뤄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싶습니다.”

 일본의 시민운동가인 다나카 노부유키 씨는 18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연 ’정대협 창립 20주년 기념 국제포지엄‘에 참석해 이렇게 말했다.

 노부유키 씨는 이날 여동생과 함께 심포지엄에 참석,부친이 1937년 중·일전쟁에 참전했을 당시 위안소를 출입했던 경험을 쓴 일기와 사진,전쟁터에서 병사들끼리 주고받은 편지 등의 자료를 정대협 측에 전달했다.

 이 일기 원본은 중국의 한 박물관에 기증하기로 먼저 약속됐기 때문에 정대협은 사본을 제작해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에 전시할 예정이다.

 노부유키 씨는 “아직 충분히 해명되지는 않았지만 이런 전쟁 기록이 앞으로 건설될 예정인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에 전시되는 것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중국의 하북성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연구원인 티앤쑤쑤(田蘇蘇) 씨도 참석해 중국 내 위안부 문제 연구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티앤쑤쑤 씨는 “위안부 문제는 일본이 중국 침략에서 저지른 최고의 범죄임에도 여러 전범재판에서 조사와 연구가 부족했다”며 “일본은 범죄 사실을 눈속임하거나 소각해 없애버리려 하고 있고 1980년대 들어서야 세상에 알려져 주목받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일본이나 한국보다는 연구가 좀 더 늦어지게 됐지만 1999년 상하이사범대학에 설립된 ’중국위안부문제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연구가 시작돼 약간의 성과를 내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지지나 경제적 지원이 적고 연구자도 많지 않지만 앞으로 연구와 발굴이 계속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진 주제발표와 토론에서 중앙대 사회학과 이나영 교수는 정대협의 지난 20년간 활동에 대해 “위안부 운동이 역사 속에 파묻혀 있던 동아시아 식민지 문제를 학자나 연구자들이 아닌 민간단체에서 끌어올렸다는 것을 굉장히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