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5도 특별법’ 추진 반겨… “대피소 부실” 호소
한·미연합훈련 이틀째인 29일 우리나라 최북단인 백령도.주민들은 긴장감 속에서도 대체로 평상시처럼 생업에 종사했다. 음식점이나 일반 가게 등도 정상 영업했다. 인천을 오가는 여객선도 육지로 빠져나가려는 주민이 몰리지 않았다. 주민들은 특히 이 지역 종합개발의 근거를 담은 ‘서해5도 지원특별법’ 추진을 크게 반겼다. 여유도 생겼다. 백령면 18개리 이장단은 연평도 주민을 돕기 위해 성금을 모으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서는 기대와 불만이 엇갈렸다. 전모(56·여·진촌1리)씨는 “대통령이 북한에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결연한 표정으로 말하는 것을 보니 마음이 놓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손모(68·진촌3리)씨는 “천안함 사건 때와 똑같은 얘기”라며 “그때 말과 같이 확고하게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에 연평도 사태가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대청도·소청도 주민들은 상당수가 섬을 비웠다. 해경소청파출소 관계자는 “3분의1가량이 집을 비운 것 같다.”면서 “피난했다기보다는 어업을 주로 하는 주민들이 휴어기를 맞아 볼일을 보러 육지로 나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백령도 주민들은 연평도 피격 이후 제기된 부실한 대피시설에 대해선 한목소리를 냈다. 손씨는 “연평도 피격 당시 집 옆 대피소로 갔는데 바닥에 콘크리트 뭉치가 떨어져 있었고 벽과 천장에는 철근이 삐져나와 아찔한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1974∼1976년에 만들어진 백령도 대피소는 각종 문제점으로 시설개선이 계속 요구돼 왔지만 예산이 없어 번번이 무산됐다.
김정섭 백령면장은 “대청해전부터 최근 천안함 사건 때까지 (정부에)거듭 대피소 시설 개선을 건의했다.”면서 “그때는 정부도 필요성을 공감하는 것 같던데 곧 흐지부지됐다. 이번에는 어떨지….”라고 말했다.
백령도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0-11-3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