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대입 수시 62%…입학사정관제 소폭 증가

2012 대입 수시 62%…입학사정관제 소폭 증가

입력 2010-12-06 00:00
수정 2010-12-06 13: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년에 치러지는 2012학년도 대학입시에서는 전체 정원의 62% 이상을 수시모집에서 선발하고 입학사정관 전형을 하는 대학 수도 올해보다 조금 더 늘어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기수 고려대 총장)는 대학입학전형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전국 200개 4년제 대학(교대,산업대 포함)의 2012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6일 발표했다.

 ◇수시모집·입학사정관제 확대

2012학년도 총 모집인원은 38만2천773명이며 이 중 수시모집에서 62.1%인 23만7천640명을,정시모집에서 37.9%인 14만5천133명을 선발한다.

 우수 학생을 조기에 선점하려는 대학들의 경쟁으로 수시모집 비중은 매년 느는 추세다.2012학년도 역시 올해(2011학년도,60.7%)에 비해 약간 늘어난 수치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시행하는 대학은 올해 118곳(3만6천896명)에서 내년 122곳(4만1천250명)으로 소폭 늘어난다.

 비율로 따지면 전체 모집인원의 10.8%를 입학사정관제로 뽑게 되는 것이다.

 입학사정관 전형에 응시하는 학생들의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 등을 충분히 평가할 수 있도록 원서 접수가 다른 전형보다 한 달 정도 빠른 내년 8월1일부터 시작된다.

 또 서류검색 시스템을 개발 활용함으로써 자기소개서와 학업계획서 등 학생이 제출한 주요 전형자료의 표절 여부를 확인해 공정성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대교협은 설명했다.

 ◇대학별 고사 사전 공지

내년부터는 각 대학이 논술,면접 등 대학별 고사를 실시할 때 원서접수 전에 시험일자,시간을 미리 안내하도록 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대학별 고사 일정이 사전에 공지되지 않아 여러 대학에 동시 지원한 학생들은 시험시간이 겹쳐 응시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지방 학생들을 위해 고사장을 지역별로 따로 설치하는 방안을 마련해 수험생들의 불편을 덜어줄 방침이다.

 ◇수시 미등록 충원기간 설정

2012학년도부터 수시모집이 끝나고 6일간의 미등록 충원기간(2011년 12월15~20일)이 생긴다.공식적인 추가 모집이 가능해진 셈이다.

 지금까지는 기간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아 대학들은 수시가 끝나고 나서 ‘알아서’ 미등록 인원을 충원해야 했다.

 수시 미등록 기간을 별도로 정해두면 대학들은 예고한 모집 인원대로 학생을 다 뽑을 수 있고 수험생은 정확한 예비 합격자 발표기간을 알 수 있게 된다.

 ◇전형요소

수시모집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와 논술,면접,적성검사 등이 주요 전형요소가 되고 대학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최저학력기준으로 활용한다.

 일반전형 인문계열 기준으로 학생부를 100% 반영하는 대학이 90곳으로 올해보다 6곳 늘었고 전반적으로 반영 비중도 높아졌다.

 정시모집에서는 학생부 100% 반영 대학이 6곳,80% 이상 100% 미만 1곳,60% 이상 80% 미만 6곳,40% 이상 60% 미만 77곳이다.

 또 수능 100% 반영 대학이 87곳,80% 이상 100% 미만 41곳,60% 이상 80% 미만 40곳 등 반영 비중이 대체로 올해와 비슷하다.

 논술고사를 보는 대학은 수시에서는 경북대,서강대,홍익대 등 35곳으로 올해보다 한 곳(일반전형 인문계열 기준) 늘었으며 정시는 올해와 마찬가지로 6곳(서울대,대전가톨릭대,영산선학대,수원가톨릭대,인천가톨릭대,서울교대)이다.

 ◇수험생 유의사항

수시모집에서 복수로 합격한 학생은 등록기간 내에 1개 대학에만 등록해야 한다.

 예치금 납부도 정식 등록으로 처리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수시모집에서는 전형기간이 같아도 대학 간 복수지원이 가능하며 정시모집에서는 모집기간 군이 다른 대학 간,또는 동일 대학 내 모집기간 군이 다른 모집단위 간 복수지원을 할 수 있다.

 수시모집에 합격하면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다음 모집(정시,추가)에 지원할 수 없다.

 또 정시모집에 합격하고 등록하면(최초 등록 및 미등록 충원과정 등록 포함) 추가모집 지원이 금지된다.단,추가모집 기간 전에 정시 등록을 포기하면 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있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위해 간담회 개최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7일 동대문구청 간부들과 동대문문화재단 대표이사, 본부장 등이 함께한 문화예술 사업 예산 간담회에서 동대문구 주민들을 위한 안정적이고 접근성 높은 공공 공연장 확보에 서울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제기동 선농단 역사문화관 리모델링 ▲세종대왕기념관 아트홀 건립 계획 ▲서울시립대학교 공연장 활용 가능성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 의원은 “선농단 역사문화관은 제기역과 안암오거리 사이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난 만큼, 리모델링을 통해 공공 공연장으로 재탄생시키면 주민 만족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 관계자들도 “공공 공연장이 전무한 동대문구에서 선농단 공연장화는 지역 문화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핵심 사업”이라며 지역 공연장 조성 필요성에 공감했다. 동대문구청은 문화체육관광부 소유 세종대왕기념관 부지를 활용해 대형 아트홀 건립 계획을 추진 중이며, 이 의원은 해당 계획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예산·행정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 의원은 “동대문구에는 2000석 이상 대형 공연장이 없는 상황”이라며 “세종대왕기념관 부지에 아트홀이 조성될 경우 동북권 주민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위해 간담회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