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고 생겨나고…한강 섬에 얽힌 사연은

사라지고 생겨나고…한강 섬에 얽힌 사연은

입력 2011-03-04 00:00
수정 2011-03-04 08: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잠실도ㆍ부리도ㆍ무동도 등 역사 소개

봄을 맞아 한강변으로 나들이를 갈 계획이 있는 서울시민이라면 한강 섬들의 역사에 대해 한번쯤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4일 사라지거나 새로 생겨나는 등 한강 섬에 얽힌 역사와 사연을 소개했다.

한강에는 잠실도와 부리도, 무동도, 난지도, 저자도 등 지금은 이름만 남아있는 섬들이 있다.

현재 잠실 일대에는 불과 수십 년 전인 1970년대 이전만 해도 뽕나무가 가득한 잠실도를 비롯해 부리도와 무동도가 있었다.

지금의 석촌 호수 일대는 당시 한강 본류인 송파강이었으며 지금의 한강은 당시 지류인 신천강이었다.

그러다 1970년대 잠실지구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이 일대에 매립사업이 실시돼 신천강과 송파강은 각각 오늘날 한강 본류와 잠실 일대로 변했으며, 공사 과정에서 덜 메워진 송파강은 석촌호수가 됐다.

난초와 지초가 자라는 아름다운 섬이었던 난지도는 1977년 강둑 공사 이후 1993년까지 쓰레기 매립장으로 사용되다 2002년 월드컵공원으로 다시 태어났다.

금호동과 옥수동 남쪽 한강에 있던 모래섬 저자도는 1970년대 압구정동 개발 당시 섬의 토사가 이용되면서 사라졌다.

한강 팔경 중 하나로 꼽히던 선유도는 원래 섬이 아닌 언덕이었지만 1962년 제2한강교 건설과 1968년 한강개발사업으로 섬이 됐으며, 1999년 공원화 사업을 통해 최초의 환경재생공원으로 탈바꿈했다.

노들섬은 원래 이촌동 지역에서 이어진 모래벌판이었으나 일제 강점기 철제 인도교를 지으면서 주변의 모래를 모아 언덕을 쌓으면서 섬이 됐다.

반포대교와 동작대교 사이에 있는 서래섬은 1982~1986년 올림픽대로 건설 등 한강종합개발 사업을 벌일 때 조성된 인공섬으로, 수양버들과 유채꽃이 어우러져 주변 경치가 아름다운 곳으로 유명하다.

밤을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진 밤섬은 1968년 돌을 캐고자 섬을 폭파하면서 주민 60여가구가 떠났고 이후 나무와 풀이 우거지면서 도심 속 철새도래지로 자리잡았다.

1970년대 개발사업으로 서울의 금융 중심지로 새로 태어난 여의도는 조선시대만 해도 양과 염소를 기르는 목축장이 있던 곳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강변을 산책하며 각각의 섬마다 깃든 역사를 되새긴다면 한강의 소중함을 새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