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모(31·여)씨는 예비 남편과 상의한 끝에 이달로 예정된 결혼식을 6월로 미뤘다. 5월 결혼식을 피하는 것만으로 결혼비용을 10~20%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엄씨는 “굳이 예식비용 부담이 많은 5월에 결혼할 필요 있나요?”라고 말했다.
‘5월=결혼 시즌’의 공식이 사라지고 있다. 5월에 결혼하는 비용이 다른 달에 견줘 비싼 데다, 최근 전셋값 폭등 여파까지 겹쳐 집 구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아예 겨울철이나 장마철 등 비성수기에 결혼 날짜를 잡는 예비 신랑신부들도 늘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웨딩전문 대행 업체인 B사는 지난해 5월 479건의 결혼 계약을 유치했다. 이는 같은 해 10월 750건에 비해 60%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B사 측은 “올해 5월도 예상보다 낮은 497건의 계약이 성사됐다.”고 말했다.
예식장에서도 5월의 인기가 사라진 지 오래다. 서울 지역에 6개의 예식장을 소유한 한 체인업체는 “올해 5월 예식 계약 건수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예식장 한 곳 당 10건 정도 줄어 전체적으로 60건 안팎이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예식장 관계자는 “다른 예식 업체도 사정이 비슷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여행사도 마찬가지다. H여행사 관계자는 “평소 5월에 3000쌍 정도 허니문 여행을 가는데 올해의 경우 2500쌍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5월 혼인신고 건수는 2004년 4만 877건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2005년 3위, 2006년에 4위, 2007년 4위, 2009년 3위 등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전통적으로 결혼 비성수기로 꼽혀 온 ‘12월 결혼’은 꾸준히 증가해 2007년 1위로 올라섰다.
웨딩 전문가들은 5월 결혼이 외면받는 이유로 결혼비용을 줄이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겉으로 내보이기보다는 실속을 차리려는 알뜰 예비 부부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웨딩플래너는 “결혼식 날짜 결정권이 자녀들에게로 많이 옮겨졌다.”면서 “젊은 예비 부부들이 5월보다 웨딩카나 축가연주 등에서 저렴한 혜택을 주는 비성수기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셋값 폭등도 결혼 일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해 11월 양가 상견계를 했다는 박모(33)씨는 “당초 4~5월쯤 식을 올리려고 했다가 전셋집을 구하기 힘들어 하반기 이후로 미루기로 했다.”면서 “주변에 올해 하려고 했던 결혼식을 미루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5-0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