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 해외출장 심사 깐깐해진다

서울시 공무원 해외출장 심사 깐깐해진다

입력 2011-05-09 00:00
수정 2011-05-09 07: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훈령 개정…모든 출장 심사, 귀국보고서 작성 의무화

서울시 공무원은 해외출장을 가려면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야 하며 다녀와서는 반드시 귀국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서울시는 9일 공무원 해외출장을 내실화하고자 각종 의무ㆍ벌칙 규정을 신설한 ‘서울특별시 공무 국외여행 규정 개정규정’을 최근 발령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소속 공무원이 공무상 국외여행을 하고서 귀국하면 반드시 보고서를 작성토록 하고, 이를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초로 외부에 공개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시민이 국외여행을 다녀온 공무원의 귀국보고서를 보려면 별도의 정보공개청구 절차를 밟아야만 했으나 앞으로는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의 행정정보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귀국보고서 작성 기한도 지금은 귀국일로부터 30일 이내지만 앞으로는 15일 이내로 짧아지며, 제출된 자료는 분석과 연구, 정리 등 과정을 거쳐 체계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공무원이 귀국보고서를 기한 내에 제출하지 못하거나 내용이 부실하면 이후 국외여행을 제한받을 수 있다.

국외여행 전 심사를 받아야 하는 대상도 기존에는 견학, 시찰, 참관 등 목적에 국한됐지만 앞으로는 목적과 무관하게 모든 여행으로 확대되고 심사 기준도 한층 엄격하게 적용된다.

여행 전 여행자 수칙과 현지 규범, 관습 등에 대한 소양교육도 의무화된다.

직무와 관련해 알게 된 기밀을 누설하는 행위가 금지되며, 국가의 위신과 기관의 명예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품위유지 규정도 신설됐다.

매주 1차례 열리던 심사위원회 정기회의는 매월 2차례로 축소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역사박물관, tbs교통방송 등 책임운영기관과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SH공사, 서울시시설관리공단, 서울시농수산물공사를 비롯한 투자기관은 시장 대신 기관장이나 사장이 직접 여행 허가를 할 수 있도록 하게 해 운영 자율성을 보장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예산이 쓰이는 해외출장의 투명성과 성과를 높이고자 훈령을 개정했다”며 “예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6일 서울역사박물관 1층 로비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학생필하모닉 여름연주회’에 참석해 도산 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협연 무대를 시민들과 함께했다. 이날 연주회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교육청이 주최하고,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가 협연하는 특별 공연으로 기획됐다. 서울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열린 음악회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서울의 역사적 공간인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이 작사한 ‘거국가’가 연주되는 뜻깊은 무대가 마련됐다. 이 의원은 “도산 선생이 남긴 애국의 정신과 교육 철학이 오늘의 청소년들에게 음악이라는 언어로 되살아나고 있다”라며 “서울의 중심에서 시민과 함께하는 이번 음악회가, 기억의 울림이자 희망의 시작이 됐다”고 전했다.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전국 유일의 교육청 직영 학생 오케스트라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7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창단 이후 매년 정기 공연과 지역 연주회를 통해 서울시민과 예술로 소통해왔다.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는 도산 선생의 애국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구성된 전문 관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